北 SLBM 열병식에도.."김정은 답방 기대, 비대면도 가능"
한일문제 곤혹스러운건 사실
강제집행방식은 바람직 안해
◆ 文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 남북문제·외교안보 분야 ◆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하면서 비대면으로라도 만날 수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남쪽 답방은 남북 간 합의된 상황이고 언젠가 이뤄지길 기대한다"며 "만남 자체가 아니라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만날 것)"이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요구하는 건 미국으로부터 확실하게 체제 안전 보장을 받고 미국과의 관계가 정상화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큰 원칙에 대해서는 북·미 간 싱가포르 합의 때 이미 합의가 다 돼 있다. 북·미 간 속도감 있는 대화를 통해 충분히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면으로 만나는 것이 장애가 된다면 여러 가지 비대면 방식으로 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3월로 예정된 연례 한미군사훈련 재개 문제와 관련해 "필요하면 남북군사위원회를 통해 북한과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북한이 한미군사훈련에 보이는 민감한 반응에 대해 "한미연합훈련은 연례적으로 이뤄지는 훈련이고, 방어적 목적의 훈련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해서 말씀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날 신년 기자회견 외교안보 분야 질문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와의 협력 방안, 한일관계 갈등 해소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문 대통령은 북·미 회담 재개를 위해 "우선 가능하면 한미 정상 간 교류를 조기에 성사시켜 양 정상 간 신뢰나 유대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한반도 문제와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싶다"고 말했다.
최근 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관계에 대해서는 "(수출규제·강제징용 판결 문제 등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양국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는 중에 위안부 판결 문제가 더해져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전제하면서도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2015년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 토대 위에서 피해자 할머니들도 동의할 해법을 찾도록 한일 간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서도 "강제 집행의 방식으로 (일본 기업 자산이) 현금화된다든지 하는 방식은 양국 관계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한예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文 "투기 차단하면 될줄 알았다"…부동산 실패 뒤늦게 인정
- [단독/레이더P] 박범계, 처가 부동산 거래 논란에 "가족 추억 서린 곳이라…"
- `유명희 딜레마`에 빠진 한국 외교
- 머쓱해진 이낙연, 힘실린 이재명…文회견에 與잠룡 투톱 희비
- 文 "백신 부작용땐 정부 보상…불신 크면 내가 먼저 접종"
- 블랙핑크 제니, 솔로 컴백 예고...YG에서 나올까?
- ‘슈퍼 사이클’ 바람을 탄다…K조선: 어게인 르네상스 [스페셜리포트]
- 비, 7년 만에 미국 재입성…11월 단독 콘서트 개최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기은세, 띠동갑 사업가와 이혼...“서로 앞길 응원”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