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3회 이달의 기자상] '눈먼 돈' 된 중기부 비대면 바우처 플랫폼 예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구에 비유하자면 중소벤처기업부가 내는 보도자료는 일종의 '무관심 도루'다.
승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서 주자는 전력 질주하지만 배터리는 굳이 견제할 필요를 못 느끼는 상황.
간단히 '○○ 회의 개최'라고 제목 달고 개최 이유와 요지를 설명하면 될 것을 굳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나선다!"고 쓴다.
"비대면 바우처 신청기업 4만 곳 돌파!"라는 미사여구로 포장한 정부 보도자료에 견제구를 던져본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야구에 비유하자면 중소벤처기업부가 내는 보도자료는 일종의 ‘무관심 도루’다. 승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서 주자는 전력 질주하지만 배터리는 굳이 견제할 필요를 못 느끼는 상황. 출입기자로서 받아드는 중기부 보도자료가 딱 그렇다. 부처는 뭔가 거창하게 일 벌리고 있다는 걸 드러내고자 뛰는데(배포), 기자가 견제구(기사화)를 던지기엔 허탈한 경우가 많다.
가령 이런 식이다. 간단히 ‘○○ 회의 개최’라고 제목 달고 개최 이유와 요지를 설명하면 될 것을 굳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나선다!”고 쓴다. 기실 내용은 당장 기사화하기 애매한 미래 사업 방침이나 장관·부처의 단순 동정 소개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그 양도 압도적이어서, 대개 기자들의 ‘기획’을 거치지 못 하고 그저 인터넷용 단신이나 귀퉁이 1단 기사 정도로 소화되는 게 보통이다. 나 역시 쏟아지는 보도자료를 꼼꼼히 뜯어보지 않고 그저 그렇게 흘려보내기 일쑤였다.
보도는 이런 반성에서 나왔다. 그간 ‘무관심 도루’로 여겼던 것들을 한 번쯤은 꼭 따져보자는 생각이었다. “비대면 바우처 신청기업 4만 곳 돌파!”라는 미사여구로 포장한 정부 보도자료에 견제구를 던져본 것이다. 직접 현장을 찾고 이해관계자 목소리를 들으니 명확해졌고 운 좋게 귀한 상까지 받을 수 있었다.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린다. 현장에 답이 있다는 직업적 진리도 다시금 깨달았다. 늘 부족한 후배를 믿고 지지해주는 박진호 경제부장이 없었다면 이 기사는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정호선 팀장과 사랑하는 내 가족, 그리고 평생을 함께할 약혼자 이경언에게 이 상을 바친다.
copyrightⓒ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일보, 이충재 이어 김희원에게 "칼럼 쓰지 마라"
- 대통령실 "KBS 사장 사퇴와 수신료는 별개 문제" - 한국기자협회
- KBS 여권이사들, 수신료 분리징수에 이사회·경영진 총사퇴 제안
- "약자부터 자르는 게 김유열 사장이 말하던 '혁신'인가"
- 김의철 KBS 사장 "대통령께선 수신료 분리징수 철회해달라"
- 경향신문 '이동관 논란' 1면 머리기사로 다뤄
- 한국기자협회-마켓링크, 업무협약 - 한국기자협회
- 방통위, 이달부터 지상파방송사 재허가 심사 착수 - 한국기자협회
- KBS 수신료 분리 징수 "돈줄로 공영방송 길들이기" - 한국기자협회
- 대통령실, 수신료 분리징수 위한 법령개정 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