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양아 교체' 文 발언에 野 "대통령 바꾸고 싶다..정인이 대책이 반품이냐"

양범수 기자 2021. 1. 18. 16: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철수 "입양이 홈쇼핑?천벌 받는다"유승민 "사람이 먼저라더니? 인권 변호사 맞나"김미애 "입양아가 인형이냐끔찍해"靑 "입양 활성화로 입양제도를 보완하자는 뜻"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16개월 입양 아동이 아동학대로 숨진 '정인이 사건' 방지 대책의 일환으로 입양 가정의 입양의 취소 및 입양아 교체를 언급한 것에 대해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은 "입양아동이 시장에서 파는 인형이냐"라며 "개와 고양이에게도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했다.

아이 2명을 입양해 키우는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의 인식이 이렇다니 인간존엄성이라고는 없는 분 같다"며 "이런 분이 인권변호사였다니 믿을 수 없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철수 "입양이 홈쇼핑?천벌 받는다"
유승민 "사람이 먼저라더니? 인권 변호사 맞나"
김미애 "입양아가 인형이냐…끔찍해"
靑 "입양 활성화로 입양제도를 보완하자는 뜻"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16개월 입양 아동이 아동학대로 숨진 '정인이 사건' 방지 대책의 일환으로 입양 가정의 입양의 취소 및 입양아 교체를 언급한 것에 대해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은 "입양아동이 시장에서 파는 인형이냐"라며 "개와 고양이에게도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했다.

김미애 국민의힘(전 미래통합당) 의원(오른쪽) /연합뉴스

아이 2명을 입양해 키우는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의 인식이 이렇다니 인간존엄성이라고는 없는 분 같다"며 "이런 분이 인권변호사였다니 믿을 수 없다"고 했다. 김 의원은 "정인이 사건에서 정인이가 문제였나"라며 "양부모의 아동학대가 문제였지"라고 했다. 김 의원은 태그(#)로는 "입양아가 맞지 않는다고 아기를 바꾼다니, 나는 (그런) 대한민국 대통령을 정말 바꾸고 싶다"고 했다.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 "입양 아동이 무슨 쇼핑하듯 반푼 교환 환불되는 물건이라도 되느냐"라며 "16개월 아동학대치사 사건이 터졌을 때 대통령이 아동학대를 마치 입양의 문제인 것처럼 말할 때부터 이상했다. 문제는 아동학대이지 입양이 아니다"라고 했다.

유 전 의원은 "'사람이 먼저'라는 인권변호사 출신 대통령은 사실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대해 아무 생각이 없었던 것"이라며 "아동의 인권에 대해 단 한 번 이라도 진지하게 고민했다면 저런 말이 나올 수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논평에서 '입양아 교체' 발언에 대해 "귀를 의심했다"며 "인권변호사였다는 대통령 말씀 그 어디에도 공감과 인권, 인간의 존엄은 없었다. 듣는 우리가 부끄러웠다"고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무슨 정신 나간 소리냐. 입양이 무슨 홈쇼핑이냐"라고 했다. 안 대표는 "한 번도 아니고 두 번씩이나 충격을 받은 아이가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를 맺을 때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될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며 "반려동물에게조차 그렇게 하면 천벌 받는다"고 했다.

안 대표는 "아이를 입양한다는 것은 그 아이와 부모가 천륜의 연을 맺는 것"이라며 "입에 담기도 분노스럽지만 파양이나 교체는 아이를 위한 배려가 아니라 입양 부모의 부정적 행동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사용될 게 뻔하고 그 자체로 아이에 대한 정서적 학대"라고 했다.

안 대표는 "대통령의 발언으로 다수의 입양 가정 아이들은 자신도 언제든지 파양될 수 있다는 불안과 공포를 떨칠 수 없게 됐고, 진심으로 아이를 아끼는 입양 부모들도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벗어날 수 없게 됐다"며 "(문 대통령은) 입양아들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입양 부모들에게 사회적 낙인을 찍은 데 대해 지금 당장 사과하길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신년 기자회견에서 '정인이 사건'과 관련한 입양 아동 학대 방지 대책을 묻는 말에 "입양 부모의 경우에도 마음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일정 기간 안에는 입양을 취소한다든지 또는 아이하고 맞지 않는 경우에 입양 아동을 바꾼다든지 (하는) 여러 방식"을 말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청와대는 "입양 활성화를 위해 입양제도를 보완하자는 것"이라며 "현재 입양 확정 전 양부모 동의 하에 관례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전위탁보호' 제도 등을 보완하자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프랑스, 영국, 스웨덴에서는 법으로 사전위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