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이대로면 21세기 중반 한반도 기온 3.3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탄소배출을 최소화 하지 않으면 21세기 중반(2041~2060년) 한반도의 기온이 3.3도 가량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한반도 기온이 가까운 미래(2021∼2040년)에는 1.8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반도 강수량은 가까운 미래는 3% 감소하지만, 점차 기후변화가 빨라지면서 2041∼2060년에는 4% 증가하고, 먼 미래(2081~2100년)에는 14%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탄소배출을 최소화 하지 않으면 21세기 중반(2041~2060년) 한반도의 기온이 3.3도 가량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세기말(2021~2040년)에는 7도까지 상승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제6차 보고서를 기반으로 2100년까지의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을 담은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2020’에서 이같이 전망했다고 18일 밝혔다.
보고서는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을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량을 지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와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획기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저탄소 시나리오’로 나눠 분석했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한반도 기온이 가까운 미래(2021∼2040년)에는 1.8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경우 온실가스로 인한 오존층 파괴로 극한기후 현상이 21세기 중반 이후 급증, 폭염에 해당하는 온난일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반도 강수량은 가까운 미래는 3% 감소하지만, 점차 기후변화가 빨라지면서 2041∼2060년에는 4% 증가하고, 먼 미래(2081~2100년)에는 14%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탄소배출을 최소화 한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가까운 미래에는 기온이 1.6도 올라 기존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기후변화 추세가 점차 약화해 먼 미래에는 상승 폭이 고탄소 시나리오의 3분의 1 수준인 2.6도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강수는 가까운 미래에는 1% 줄고, 먼 미래에는 3% 올라 큰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김청환 기자 chk@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文 "입양아동 바꾼다든지" 발언에 "아이를 반품한다고?" 비난 쇄도
- 안철수 "조국 딸 의사면허는 '정유라의 말'처럼 범죄수익"
- '한명숙 사면' 선 그은 문 대통령 "정치인 사면 검토 안해"
- "가까운 대학 가라" "알바 안돼" 아버지의 통제
- "독립운동가 대충 살아" 윤서인 사과했지만 80억대 소송 당할 듯
- 아무리 일본이 싫어도 두 살배기 노노카에게 악플 테러라니…
- "단칸방에 다닥다닥" 코로나 '시한폭탄' 시설에 갇힌 장애인들
- "문재인 정부, 갈등 해소 노력 안한다" 4년 만에 두배
- "내 소설 베껴 수차례 문학상... 힘 없는 학생의 글 빼앗다니"
- '아군'과 '각' 세우는 이재명, 본선 경쟁력으로 '비토' 넘어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