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소통 적다는 질문에.. 문 대통령 "코로나로 어려운 상황이었다"
집권 5년차를 맞은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2021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난해 1월 신년 기자회견 이후 1년여만으로 문 대통령 취임 이후 5번째 기자회견이다. 올해 신년 기자회견은 예년과 같이 질문자와 질문 내용에 대한 사전 조율 없이 이뤄졌으며 문 대통령이 사회자로 나서 직접 질문자를 지목하고 질의응답을 이끌었다.
특히 이번 기자회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고려해 사상 최초로 온·오프라인 화상 연결 방식으로 진행됐다. 사전에 청와대 출입기자들 간 협의를 통해 현장에 배석할 기자 20명과 화상으로 연결할 기자 100명이 정해졌으며 기자회견에 참여하지 못한 기자들은 채팅방을 통해 대통령에게 질문을 전달했다.
이날 회견은 오전 10시부터 2시간가량 진행됐다. 질의는 방역·사회, 정치·경제, 외교·안보 분야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기자들이 번호가 적인 팻말을 들어 질문 기회를 얻는 형식이었다. 회견 중 총 24명의 기자들이 지목돼 질문 기회를 얻었고, 채팅방을 통해선 대표 질문 3개가 기자회견 마지막에 질의됐다.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 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교육 양극화 및 백신 접종, 부동산 대책과 법무부-검찰 간 갈등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다.
"지금은 전임 대통령 사면 말할 때 아니다"
가장 관심이 많았던 두 전직 대통령 사면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두 분의 전임 대통령이 수감된 사실은 국가적으로 매우 불행한 사태이다. 두 분 모두 연세가 많고 건강이 좋지 않다는 말도 있어 아주 걱정이 많이 된다”면서도 “지금은 사면을 말할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재판 절차가 이제 막 끝났다. 엄청난 국정 농단 그리고 권력형 비리가 사실로 확인됐고 국가적 피해가 막심하며 우리 국민들이 입은 고통이나 상처도 매우 크다”면서 “과거의 잘못을 부정하고 또 재판 결과를 인정하지 않는 차원에서 사면을 요구하는 움직임에 대해 국민들의 상식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언젠가 적절한 시기가 되면 더 깊은 고민을 해야 될 때가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대전제는 국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낳았던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사고와 관련해선 “아동학대로 인해 죽음에까지 이르게 된 사건을 보면서 정말 마음이 아프다. 우리가 제대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지적을 겸허하게 받아들인다”며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 숫자를 대폭 늘릴 필요가 있고 공무원 중심으로 경찰과 학교, 또는 언론계와 시민사회가 종합적인 논의를 통해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피해자의 이름을 붙여 법안명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질의에 대해선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가해자의 이름이나 객관적 명칭으로 사건을 부름으로써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를 막는 것이 필요하다. 수사기관에 특별히 당부를 드리고, 언론에서도 협조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자회견만이 국민들과의 소통이라 생각하지 않아"
현안이 많았기에 언론 문제와 관련한 질의는 거의 없었지만 유일하게 나왔던 언론과의 접촉 기회를 늘려갈지 묻는 질문에는 “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지난 1년간 기자들과의 소통이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것은 다 이해하시리라 생각한다”면서 “뿐만 아니라 저는 기자회견만이 국민들과의 소통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소통의 한 방법이지, 저는 어느 대통령보다 현장 방문을 많이 했고 비록 작은 그룹의 국민이긴 하지만 양방향의 대화를 주고받는 등 여러 방식으로 국민들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해왔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통이 부족했다 느끼신다면 앞으로 소통을 늘리려 노력하겠다 말씀을 드린다”며 “아무래도 여건이 좋아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부연 질문으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대통령의 생각을 묻는 질문이 나오기도 했지만 대통령은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았다.
Copyright ©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과 공범들의 내란 사태, 마지막까지 기록할 것이다 - 한국기자협회
- 1980년도 아닌 2024년에… 신문 호외·특별판, 방송은 특보체제 - 한국기자협회
- 기자들 "난생 처음 본 계엄군, 순간 두려움 느껴" - 한국기자협회
- 밤 11시 언론 통제 포고령… 기자·간부들 "뉴스룸 지키자" 비상대기 - 한국기자협회
- 군사정권 계엄 겪었던 언론인들 "상상도 못 할일" - 한국기자협회
- 용서받지 못할 자들 - 한국기자협회
- 내란 사태 해결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언론 보도의 책임 - 한국기자협회
- 계엄 문턱서 언론자유 지켜낸 날, 잊지 않겠다 - 한국기자협회
- 기협만평 2024.12.11 - 한국기자협회
- "다수결은 3명부터"… 2인 체제 방통위 위법 재확인 - 한국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