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ICT 수출 역대 3위..반도체가 효자, 전년비 3.8%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역대 3위를 기록했다.
2020년 ICT 수출은 1836억불, 수입은 1126억불, 무역수지는 710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ICT 수출 1836억불은 전년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2018년(2203억불)과 2017년(1976억불)에 이은 역대 3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역대 3위를 기록했다. 2020년 ICT 수출은 1836억불, 수입은 1126억불, 무역수지는 710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ICT 수출 1836억불은 전년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2018년(2203억불)과 2017년(1976억불)에 이은 역대 3위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 경제가 둔화되고 글로벌 교역이 감소했지만, 국내 ICT 산업은 하반기부터 수출 회복세를 이어갔다.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으나, 지난 6월부터 7개월 연속 ICT 수출이 증가했다.
효자는 반도체(1002.5억불, 5.4%↑), 컴퓨터 및 주변기기(139.1억불, 53.1%)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302.8억불, 17.6%↑), 메모리MCP(221.7억불, 14.1%↑), 디(D)램(306.0억불, 7.9%↑), 낸드 플래시(63.0억불, 11.0%↑), SSD(100.6억불, 101.5%↑)의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 좋은 실적을 견인했다.
다만, 디스플레이(207.2억불, △5.1%)와 휴대폰(112.7억불, △6.0%)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휴대폰 부분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포함, 868.8억불, 0.1%↑), 베트남(297.8억불, 9.6%↑), 미국(221.3억불, 20.4%↑), 유럽연합(112.5억불, 4.8%↑) 등 주요국 수출이 모두 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ICT도 증가할 것으로 봤다. 백신 접종 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 성장세 회복, 5G 서비스 확대로 인한 전자부품(반도체,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 등)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트너에 따르면 글로벌 ICT 성장률(Gartner, %)은 올해 4.2%, 내년에 4.5%다.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시장성장률(OMDIA, %)은 올해 20.2%, 내년 25.7%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산업 수요(5G서비스, 인공지능 등) 확대에 따라 2021년에도 ICT 수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정 총리 “국산 1호 치료제 허가 막바지…안전성 오늘 보고”(종합)
- 윤서인 극언 소송 가나…"후손들 최소 수십만, 돈 많이 벌어야겠다"
- 선 넘은 ‘쿠친’에 놀란 쿠팡, 주말 긴급 지시 "담 넘지마"
- 조건만남녀 화장실서 성폭행 ‘무죄’…이유는?
- 신현준 "죽을 것 같이 힘들었던 시간…'울림' 쓰며 위로 받아" [인터뷰]①
- "3차 지원금 언발에 오줌누기"…문 대통령 4차 지원금 카드 꺼낼까?
- “탯줄도 안 뗐는데”…신생아 창밖으로 던져 살해한 친모
- 정 총리 “확진자 수 300명대로 감소…국산 1호 치료제 곧 허가"
- 아파텔도 15억 시대…분양가 2배 뛴 곳 어디
- '우이혼' 이하늘·박유선, 이혼 결정적 사유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