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소사] 잠수항공모함 I-40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43년 1월 18일 일본 히로시마현 항구도시 구레.
척당 건조 비용이 2,886만 엔(현재 환산가 270억 엔)으로 일본이 뽑은 1급(갑형) 잠수함보다 3~4배, 2선급(을형) 잠수함보다는 6~8배나 들어갔다.
일본은 왜 돈도 많이 들고 다른 나라는 포기한 잠수공모 개발에 나섰을까.
오늘날 일본 사회 일각에서는 잠수공모가 전후 초대형 전략핵잠 설계의 원형을 제공했다고 의미를 부여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것은 세 번째 특징. ‘잠수공모(潛水空母·잠수항공모함)’라는 함종 분류에서 알 수 있듯이 항공기 3대를 탑재, 잠수함과 항공모함의 기능을 합친 전투함으로 건조됐다. 잠수공모의 발상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1차 대전기 독일에서 구상되고 영국도 연구하다 접었던 사안. 프랑스가 해군 군축조약을 피하는 수단으로 1929년 건조한 잠수순양함 쉬르쿠프급(110m·4,304톤)도 항공기를 운용했으나 잠수공모와는 개념부터 달랐다.
일본은 왜 돈도 많이 들고 다른 나라는 포기한 잠수공모 개발에 나섰을까. 은밀성과 빠른 공격력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대서양의 미 해군이 태평양으로 건너오는 길목인 파나마 운하를 파괴하고 싶었다. 잠수공모 건조를 본격적으로 추진한 1942년부터는 더욱 그랬다. 전황이 불리하다는 점을 파악한 일본은 미 함대의 증강을 잠시나마 막을 방편으로 파나마 운하 폭격을 골랐다.
일본은 18대를 건조할 계획이었으나 완공은 단 3척. I-400부터 진수 1년 뒤에 겨우 실전 배치됐으나 잦은 고장으로 패망 직전에야 출동 명령을 받았다. 미군은 승전 뒤 센토쿠급 잠수함을 모조리 찾아내 침몰시켜 버렸다. 동맹에서 적국으로 변해가는 소련의 손에 넘어갈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서다. 오늘날 일본 사회 일각에서는 잠수공모가 전후 초대형 전략핵잠 설계의 원형을 제공했다고 의미를 부여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전쟁에 눈먼 군국 일본의 착각과 어이없는 시행착오 중의 하나였다는 게 정설이다. 애초부터 일본은 상대를 잘못 골랐다. 개전 직전 전 세계 경제에서 미국의 비중은 28.7%로 3.8%에 불과한 일본보다 7.5배나 높았다. 전쟁 수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강철 생산도 5,138만톤 대 581만톤으로 미국이 9.9배 많았다. 맞수가 안 되는 상대를 잠수공모 같은 꼼수와 기행으로 넘으려 했으니 패배는 정해진 수순이었다고 할까. /권홍우 선임기자 hongw@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국 딸 의사국시 합격 소식에…'정정당당 실력 입증' vs '死神이 온다'
- [Q&A] ‘우리 스키장 이용 가능 인원은 00명’…출입문에 써 붙이세요
- '親트럼프 무장 시위' 불붙을라…워싱턴DC 주요 도로 차단
- '딥페이크' 이어 '딥보이스'까지…끊이지 않는 디지털 합성 범죄
- 출생신고 안한 8살 딸 살해한 엄마 구속…아빠는 숨진 채 발견
- 더 강한 눈 온다…'내일 출근길 대중교통 이용하세요'
- 갤S21 어디서 살까…통신3사 지원금 경쟁 '후끈'
- 이재용 '국정농단' 실형이냐 집유냐…법원 판단 포인트는
- [국정농담] 北핵무장에도 한미훈련이 골칫덩이인 '우주의 기운'
- 새해부터 거세지는 '빚투'...2주간 마통 2만개 뚫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