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18일 온·오프 혼합 방식 신년 회견..사면론 등 촉각
기자들 화상·채팅 질문 참여
부동산·탈원전 등 언급 주목
[경향신문]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온·오프 혼합 방식의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정국 이슈 및 올해 국정운영 방향에 대한 입장을 밝힌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거리 두기를 감안해 소수의 기자들만 현장에 배석하고 다수의 기자들이 화상 연결 및 실시간 채팅으로 질문하는 비대면 방식으로 이뤄진다. 청와대는 온라인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속 불량 등 사고 가능성에 대비해 네 차례에 걸쳐 리허설을 진행하며 비상준비체제를 가동 중이다. 두 전직 대통령 이명박·박근혜씨 사면 문제, 부동산 정책 실패 논란, 검찰개혁, 한반도 비핵화 방안 등에 대해 문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17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18일 오전 10시부터 청와대 춘추관에서 100분간 생방송으로 열린다. 방역을 감안해 춘추관 2층에 마련된 기자회견 현장에는 20명의 기자만 배석하고 100명의 기자가 화상으로 연결돼 질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장과 화상에 참여하지 못한 출입기자들은 실시간 채팅으로 질문할 수 있다.
청와대는 처음 시도되는 온·오프 혼합 기자회견을 앞두고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기자회견 총연출을 맡은 탁현민 의전비서관을 중심으로 관련 부서들이 비상근무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올해 신년 기자회견은 문 대통령 취임 후 네 번째다. 문 대통령이 직접 기자들로부터 질문을 받고 답을 하는 자리는 지난해 1월 이후 1년 만이다. 회견은 방역·사회, 정치·경제, 외교·안보 등에 걸쳐 진행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주부터 공식 일정을 최소화하며 회견 준비에 몰두했다. 이날 참모들이 준비한 예상질문들을 중심으로 최종 점검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기자회견에선 우선 다음달부터 시작될 코로나19 백신 접종 계획, 4차 재난지원금 지급 여부 등에 대한 질문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 부동산 정책, 탈원전 정책에 대한 감사 및 수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두 전직 대통령 사면론, ‘추·윤 사태’를 비롯한 검찰개혁 등에 대한 입장 표명 요구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에 따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방안, 한·일 갈등 해법 등에 대한 언급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이주영 기자 young78@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준표, 김기현에 “그렇게까지 대표 되고 싶나···골로 가도 소신 있어야”
- 이준석 “윤 대통령, ‘나는 뛰어난데 이준석·당 때문에 고생한다’고 생각하는 듯”
- ‘프로포폴 불법투약 의혹’ 유아인, 차기작 줄줄이 비상
- ‘온몸에 멍자국’ 숨진 초등생…경찰 “막대기로 많이 맞은 듯”
- 얼굴 공개한 조민 “표창장으로 의사될 수 없어···나는 떳떳”
- 지진 틈타 ‘IS 대원’ 교도소서 반란…20여명 도주
- 베트남 한 동네 절친 2명의 ‘코리안 드림’은 47일 만에 침몰했다
- 송중기, 아빠 된다…“혼인신고 하고 오는 길”
- ‘박은정 검사 남편’ 이종근 검사장 사의
- “건초더미서···” 호주, 1400㎞ 고속도로 수색 끝 손톱 크기 방사성 캡슐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