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빚투 우려로 고액 신용대출 이어 마통도 조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당국이 고액 신용대출 조이기에 이어 마이너스 통장(마통) 대출 관리에 주력하기로 했다.
17일 금융당국 관계자는 "그동안 열어놓은 마통을 어떻게 할 방법은 없다"면서도 "고액 한도로 마통을 신규 개설하는 것은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 투자자의 자금이 증시 활황에 한몫하는 현상은 금융당국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금융당국이 고액 신용대출 조이기에 이어 마이너스 통장(마통) 대출 관리에 주력하기로 했다. 연초 들어 코스피 3000 돌파와 더불어 비트코인이 개당 4000만원을 넘어서는 상황에서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마통까지 번졌다는 이유에서다.
17일 금융당국 관계자는 "그동안 열어놓은 마통을 어떻게 할 방법은 없다"면서도 "고액 한도로 마통을 신규 개설하는 것은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연말에 옥좼던 신용대출의 빗장이 연초에 풀리는 분위기 속에 마통 개설도 급증하고 있다. 마통은 한도 대출 방식으로 고객이 원할 때 원하는 만큼 꺼내쓸 수 있는 상품이다.
금융당국은 개인 고객의 자금이 은행 계좌에서 증권 계좌로 넘어가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개인 투자자의 자금이 증시 활황에 한몫하는 현상은 금융당국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무리하게 빚을 내 투자하다가 가격 조정이 일어날 경우 영끌을 통해 주식시장에 쏟아부은 개미가 큰 피해를 볼 수도 있다.
일단 수치상으로는 올 들어 신용대출 증가세가 폭증 수준까지는 아니라고 금융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다만 과도한 대출 증가가 증시와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불러올 수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최근 주식시장이 은행권의 대출 총량 관리에 변수로 떠오른 만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부동산의 경우 그동안 촘촘한 규제 대책을 마련한 까닭에 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이 활황을 맞은 주식시장으로 더욱 몰린다는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 다른 관계자는 "주식 투자는 여윳돈으로 해야 한다"며 "과도한 빚투는 아무래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king@fnnews.com 이용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日 후지TV, 아나운서 성상납 시키려했다" 폭로 파장 '일파만파'
- 소유 "길에서 정신 잃고 쓰러져, 누가 몸 만지는 느낌 받았다"
- 폭력 남편과 이혼 10년 만에 '땅' 존재 알아…재산분할 가능할까
- 무안공항 개량사업 했던 前공항공사 사장, 숨진 채 발견
- '만삭' 손담비, 안타까운 소식…"내일 재검, 떨린다"
- 송혜교 "대중목욕탕 간다…알몸 창피해서 얼굴만 가려"
- "임신 김민희, 한밤 분리수거 모습 포착…22세 연상 홍상수 젊어보이더라"
- 김세레나 "유부남에 속아 21살에 결혼…협박 당해"
- '생후 한 달 딸 시신 캐리어에 4년 방치' 친모 2심도 중형 구형
- 박하선 "남편 류수영, 5명과 키스신…동네 개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