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성과 높이려면 프로그램 단위 예산심의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상위 심의기관인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부처마다 흩어져 있는 정책을 종합·조정하고 프로그램 단위로 예산을 심의하는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이명화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사진)은 17일 파이낸셜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정부 R&D 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단계인 단위사업이나 세부사업을 중심으로 예산안을 심의하는 것이 아닌 최상위 개념인 프로그램 단위의 예산심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이명화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사진)은 17일 파이낸셜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정부 R&D 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단계인 단위사업이나 세부사업을 중심으로 예산안을 심의하는 것이 아닌 최상위 개념인 프로그램 단위의 예산심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정부가 연구개발(R&D)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지만 그에 따른 결과물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숲을 보고 큰 그림을 그려야 하지만 나무만 보고 그림을 그려 제대로된 결과물을 얻을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명화 단장은 "프로그램 심의를 위한 전문가 풀을 확보하고 R&D 사업의 일몰제 적용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도 정부 R&D 총예산은 전년대비 12.3% 증가해 27조2000억원으로 확정됐다.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GDP)대비 R&D 예산 비중이 매년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그럼에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경쟁력평가의 과학 및 기술 기반시설 항목에서 우리나라는 2010~2019년 동안 20위권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명화 단장은 "2007년부터 프로그램 예산제도가 도입은 됐지만, R&D 분야에서는 본연의 취지에 맞춰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는 아직까지 세부사업단위로만 예산 심의가 이뤄지고 있다. 심의회의에서 프로그램 단위 심의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내 R&D사업체계는 프로그램-단위사업-세부사업-내역사업-세부과제로 구성돼 있다. 2019년 기준으로 R&D 프로그램은 158개, 단위사업은 336개, 세부사업은 922개에 이른다. 하지만 현재 국내 R&D사업은 각각의 부처에 있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과 단위사업들로 흩어져 세부사업이 만들어지고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0억 자산가' 황현희도 당했다…"여러분 돈 노리는 사칭"
- 유아인 지인 ‘해외 도피’ 지원한 40대 여성...경찰, 구속영장 신청
- 임원희 "김구라, 내 이혼 묻더니 자기도 바로 이혼"
- 인천 석모도서 北 주민 시신 발견…정부 "26일에 송환 예정"(종합)
- "유산 내꺼야"…암 투병 남친 몰래 혼인신고서 위조한 50대女
- 이수진 "고등학생 연하남 만나봐…양다리 경험도"
- 버스 기다리는데 '기습 뽀뽀'한 30대女..항의하자 "미안하다" 도망
- “여자문제 복잡했던 남편, 애들 과외선생님과 바람 났습니다”
- 서인영, 결혼 7개월만에 남편이 이혼소송.."기사로 처음 알았다"
- 32세남 사귀는 50세 "폐경되자 약 지어왔더라…자식 낳게 이별해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