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기업도 코로나 출입명부 14대표번호 사용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화기반 출입명부에 사용되는 14대표번호 활용 요건을 대폭 완화해 지자체 뿐 아니라 일반 기업과 기관들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장소 등 활용 대상을 대폭 확대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과기정통부는 전자출입명부(QR코드) 사용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의 원활한 코로나19 출입 등록을 위해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짧은 6자리 수신자부담 14대표번호를 전화 기반 출입명부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화기반 출입명부에 사용되는 14대표번호 활용 요건을 대폭 완화해 지자체 뿐 아니라 일반 기업과 기관들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장소 등 활용 대상을 대폭 확대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과기정통부는 전자출입명부(QR코드) 사용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의 원활한 코로나19 출입 등록을 위해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짧은 6자리 수신자부담 14대표번호를 전화 기반 출입명부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다만, 사용 가능한 번호가 9000개로 한정돼 있어 당초에는 지자체에 인구 비례로 번호를 배분했고 공공청사,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우선적으로 공공부문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신청주체를 지자체로 한정해 공공부문 수요가 일정 부분 충족됐다. 이후 일반 기업이나 기관에서도 번호 수요가 제기됐고 대형 쇼핑몰, 종교시설 등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의견들을 수렴해 14대표번호 신청주체, 사용 장소 등 활용 기준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따라서 오는 18일부터는 지자체 외 일반 기업, 기관, 상점 등도 14대표번호를 사용해 출입 명부 관리에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처나 가입 번호 수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출입명부용 14대표번호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업 등은 통신사에 가입 신청할 수 있으며 수신자부담으로 운영된다. 원하는 경우 기업과 기관의 대표전화번호로도 활용 가능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전화 기반 출입명부를 더욱 간편하게 관리하고 디지털 취약계층이 출입 등록을 편리하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다만 총 번호 개수가 한정돼 있고 선착순으로 가입 가능하니 이 점을 고려해 신청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클럽에서 만나 속도위반 결혼, 신혼여행 후 남편이..
- 혼인신고 때 알게 된 충격 사실, 남친은 9년 전에...
- "합기도 관장이 나를 눕히더니.." 초등생의 충격 메모
- 머리 새하얘진 男배우의 고백 "친구 사망 이후에.."
- 생활고 호소 여배우 목격담, 강남 주점서 능숙하게...
- 섬으로 떠밀려 온 사체, 몸에 흔적 확인해보니...
- 1020세대가 심상치 않다, 이러다가 대한민국이...
- 6년간 공사판 떠돈 男, 악착같이 돈 모은 이유는...
- 女후배에 호감있던 선배, 집 현관문 앞에서 몰래...
- 차량 지키러 나간 남편, 눈앞에서 일어난 충격적인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