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GO를 찾아서]누가 아재래?..'골덴' 입은 당신은 '멋쟁이'

김민정 입력 2021. 1. 17. 00: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겨울 복고풍 아이템들이 패션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소위 '골덴'이라고 불리며 인기를 모은 코듀로이 소재가 '꾸안꾸'(꾸민 듯 안 꾸민듯한) 패션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당시 코듀로이는 유행이라서 입은 게 아니라 겨울철 가장 선호했던 방한소재였을 뿐만 아니라 패션 브랜드들이 코듀로이 소재를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듀로이, 보온·실용성·멋 3박자 갖춘 아이템
촌스러운 이미지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급부상
올해도 '레트로'는 ing..90년대 히트템 계속 주목

[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겨울 복고풍 아이템들이 패션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소위 ‘골덴’이라고 불리며 인기를 모은 코듀로이 소재가 ‘꾸안꾸’(꾸민 듯 안 꾸민듯한) 패션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골덴의 정식 명칭은 코듀로이(Corduroy)다. 세로로 골이 깊게 짜인 두툼한 소재로 보온성과 내구성이 좋아 겨울철 의류 소재로 주로 사용한다.

1980~1990년대 유행했던 코듀로이는 주로 아이들과 아저씨들이 많이 입었던 아이템이다. 코듀로이를 입었던 이들은 엄마 혹은 아내가 사주는 옷을 입었던 흔히 패션에 둔감한 사람들이기도 했다.

당시 코듀로이는 유행이라서 입은 게 아니라 겨울철 가장 선호했던 방한소재였을 뿐만 아니라 패션 브랜드들이 코듀로이 소재를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다.

(사진=AFPBNews)
특히 코듀로이 바지는 겨우내 입다 보면 어느새 엉덩이와 무릎 부분이 튀어나오고 해졌다. 때문에 코듀로이는 따뜻하지만 촌스럽고 투박하다는 이미지가 강했다.

이랬던 코듀로이가 패션계에 다시 존재감을 드러낸 건 지난 2017년 프라다와 구찌, 멀버리 등 유명 세계적인 브랜드가 코듀로이 소재를 비중있게 사용하면서다. 이 브랜드들은 코듀로이를 단순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했고, 이 무렵 복고 패션과 너드(마니아 혹은 괴짜) 패션 등이 부상한 것도 한 몫 했다.

명품 브랜드에 그치지 않고 랄프로렌, 라코스테 같은 패션 브랜드를 비롯해 노스페이스 같은 아웃도어 브랜드, 자라 같은 SPA 브랜드까지도 코듀로이 소재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코듀로이의 위상은 해가 갈수록 더 강해졌다. 아이템도 다양해져 바지와 재킷, 셔츠, 점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이 쏟아져 나왔다.

코듀로이는 골의 밀도에 따라 느낌이 달라진다. 골이 작고 간격이 좁을수록 우아한 느낌이, 골이 두껍고 간격이 넓을수록 캐주얼한 느낌이 강해진다.

남성복의 경우 코듀로이 재킷과 팬츠를 함께 입는 슈트 스타일이 인기다. 너무 포멀하지 않고 그렇다고 캐쥬얼하지도 않은 것이 코듀로이 슈트의 매력이다.

(사진=AFPBNews)
패션계는 현재 레트로가 대세라고 할 수 있다. 코듀로이 소재의 부활만큼이나 1990년대 히트 아이템들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코듀로이가 유행하던 시절을 풍미했던 ‘청청 패션’도 2000년대 자취를 감췄다가 최근 몇 년 새 부활해 멋쟁이의 아이템이 됐다. 이처럼 X세대에겐 추억이지만,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에게는 힙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하지만 패션계가 유행을 단순히 반복시키는 것만은 아니다. MZ세대에게 과거는 오히려 새롭고 낮설고 신기하기 때문에 옛 것에 최신 스타일을 결합한 레트로 패션을 선보이는 것이다.

이같은 레트로 열풍은 극명하게 인식이 다른 ‘세대차’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코로나19 사태 또한 열풍을 확대시키고 있는 하나의 촉매제로 지목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늘면서 유튜브 등을 통해 과거 정보를 더 많이 접하게 되고 그것이 다양한 피드백으로 재해석되고 있는 것같다”라며 “1990년대 유행했던 패션 스타일이 차별화된 개성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민정 (a2030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