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진중권 만나 "감사"..與野, 주말 잇단 공약 발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까지 공식 참전하면서 서울시장 보궐선거전이 본격적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각 후보들은 주택과 환경, 코로나19(COVID-19) 방역 등 주요 민생현장을 찾고 정책공약을 앞다퉈 발표한다. 나경원 전 의원은 중도층 확장과 합리적 이미지 강화를 위해 진보 진영 인사를 만나기도 했다.
이날 나 전 의원은 자신이 여당 등의 공격을 받을 때 진 전 교수가 페이스북 등에서 부당함을 지적해 준 것에 감사함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진 전 교수는 더불어민주당 측의 '나경원 공격' 때마다 오히려 민주당을 향해 날을 세웠다. 지난해 6월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나 전 의원의 아들 연구발표문과 관련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자 "줄창 '그럼 나경원은?'이라 외쳐 왔는데 문빠(문재인 대통령 극성 지지자들을 낮춰 부르는 말)들 많이 허망할듯"이라고 했다.
10월에는 민주당이 나 전 의원을 향해 시민단체 등의 비리 의혹 제기에 사과는커녕 고소로 대응한다고 비판하자, 진 전 교수가 이를 "내로남불의 극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추미애 법무부 장관, 김용민 민주당 의원에게 해야 할 이야기를"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11월에는 신동근 민주당 최고위원이 나 전 의원을 겨냥해 "대한민국 거의 모든 가정은 나경원 일가처럼 살지 않았다"고 하자, 진 전 교수가 "민주당 사람들이 나경원처럼 살지 않은 것만은 확실하다. 그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살았지"라고 맞받았다.
나 전 의원은 17일 오후 정책공약도 발표한다. 나 전 의원은 13일 출마 선언 이후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들을 만나고 마포구 아동보호 전문기관을 방문하는 등 후보로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오 전 시장 재직 시절 대표 업적 중 하나로 꼽히는 북서울꿈의숲은 미국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세계적 도심 공원을 표방하며 만들어졌다.
또 근처 장위동 등은 재개발 이슈와 직결된다. 장위뉴타운은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컸으나 전체 구역 중 절반 정도가 해제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동북지역을 관통하는 경전철도 최근 착공했다. 서울의 환경과 주택, 교통 문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장소인 셈이다.
오 전 시장은 10년 전 무상급식 주민투표 파문 속에 멈췄던 '서울시장으로서 꿈'을 2021년 어떻게 되살릴지를 설명할 예정이다.
나 전 의원과 오 전 시장을 포함해 국민의힘에서는 모두 10명의 후보가 나선 상태다. 이혜훈·이종구·오신환 전 의원, 김선동 전 사무총장, 조은희 서초구청장, 박춘희 전 송파구청장, 김근식 경남대 교수, 김정기 전 상하이총영사 등이다. 이들 역시 연이어 부동산 공급대책 등 공약을 발표하면서 선거전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국민의당은 도시 정비구역 방문에 "서울시는 도시재생산업이라는 미명 하에 해당 지역을 ‘흉가촌’으로 방치하고 있다"며 "서울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현장을 방문해 근본적인 주거환경 개선과 재개발 대책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14일 부동산 공약도 내놓고 향후 5년 동안 서울시에 주택 74만6000호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공급 정책은 △3040·5060 세대를 위한 주택 40만호 공급 △제대로 된 청년임대주택 10만호 공급 △재개발·재건축·리모델링 지원 등이다. 규제 완화 정책은 △부동산 청약제도 혁신 △무주택 실수요자 내 집 마련 규제 완화 △부동산세 완화 등이다.
지금까지 우 의원은 부동산 대책과 코로나19 사태 대응책을 중점적으로 밝혀왔다.
부동산 공약으로는 공공주택 16만호 공급과 투기 수요 차단을 전제로 한 재개발·재건축 신속 추진, 35층 층고 제한의 유연한 적용 등을 내세웠다.
특히 ‘123 서울하우징’ 공약으로 △청년에게 최대 10년간 거주가능한 10평대 공공임대주택 △신혼부부·직장인에게 20평대 규모의 20년형 공공전세주택 △장년에게 30평대 규모의 30년형 공공자가주택 공급을 밝혔다.
또 ‘한강마루 타운하우스’를 조성하는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프로젝트도 공개했다. 강변북로 위에 인공부지를 조성해 타운하우스를 건축하는 방식이다. 철길 위에 인공지반을 조성해 복합주거단지를 세우는 ‘철길마루 타운하우스’도 제시했다.
이밖에 정부 정책 등으로 영업을 중단한 경우 인건비와 임대료 등을 보상받는 ‘중소기업·자영업자 영업중단 보상보험’과 1년 단위 보험으로 감염병 사망과 후유장해 발생 시 최대 1000만원을 보상받는 ‘코로나19 시민안전보험’도 공약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음주운전 무혐의 받는 법'…피해자만 억울한 경찰 실수 - 머니투데이
- "알페스, 돈 되니까" 연습생 트레이너, 기획사 저격 - 머니투데이
- "뿔 모자 쓴 트럼프 지지자, 부통령·의원 암살 노렸다" - 머니투데이
- 샤워 중인데 문 '벌컥'…"집주인이라고 막 들어와도 되나요?" - 머니투데이
- '나혼산' 황재균 '골든글러브는 처음이라'…기안84 "그래서 포지션은?" - 머니투데이
- "사랑하는 딸 새론아…사과 바란 건데 해명하란 말뿐" 모친 편지 공개 - 머니투데이
- 끝까지 편치 못한 김새론…결혼·낙태 폭로에 "본질 흐리기" 분노 - 머니투데이
- 김수현 측 "바지 벗은 사진, 성적 수치심"…김새론 유족·가세연 고발[전문] - 머니투데이
- 서창교 경북대 부총장, 48억 재산 신고…이상민 전 장관 46억 - 머니투데이
- '시라소니' 이 배우 깜짝 과거…"먹고 살자고 한 일" 뭔가 보니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