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바이든 부양책 공개에도 무너져..나스닥 0.87%↓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욕증시 주요지수들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부양책 공개에도 속절없이 무너졌다.
부양책 기대가 선반영된데다, 소매판매 등 부진한 경제지표가 발표된 것이 하락 원인으로 꼽힌다.
주요 지수들은 바이든 당선인이 발표하기로 한 1조9000억 달러 규모 경기부양책 기대감으로 주중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결국 약세로 한주를 마감하게 됐다.
그러나 증시에 부양책 기대가 상당폭 선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지수는 되레 하락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양책 기대감 선반영·경기지표 부진이 원인
[더팩트ㅣ박경현 기자] 뉴욕증시 주요지수들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부양책 공개에도 속절없이 무너졌다. 부양책 기대가 선반영된데다, 소매판매 등 부진한 경제지표가 발표된 것이 하락 원인으로 꼽힌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대비 177.26포인트(-0.57%) 하락한 3만814.26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 보다 27.29포인트(-0.72%) 내린 3768.2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4.14포인트(-0.87%) 하락한 1만2998.50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이번주 다우지수는 약 0.9%,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1.5%가량 내렸다. 주요 지수들은 바이든 당선인이 발표하기로 한 1조9000억 달러 규모 경기부양책 기대감으로 주중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결국 약세로 한주를 마감하게 됐다.
바이든 당선인은 미국인에 대한 현금 추가지급, 실업수당 지원금 확대 및 기간연장 등의 방안이 골자인 경기부양책을 전날 발표했다. 인프라 투자와 기후변화 대응 등에 초점을 맞춘 또 다른 재정부양책은 내달 발표할 계획이다.
그러나 증시에 부양책 기대가 상당폭 선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지수는 되레 하락했다. 지난달 말 승인된 규모 9000억 달러 두 배에 달하는 막대한 재정부양책이기에 조세 부담에 대한 우려도 불거졌다.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도 부진한 결과를 나타냈다. 미 상무부는 지난해 12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전망 0.1% 감소보다도 훨씬 더 큰 폭이다. 1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예비치는 79.2로, 전월 확정치인 80.7에서 하락했다. 이 역시 시장 전망치 79.4에 미치지 못했다.
더불어 주요 은행들의 주가 하락도 증시 하락의 원인이 됐다. 씨티그룹 주가는 이날 6.9% 급락해 마감했고, 웰스파고는 7.8% 내렸다. JP모건 주가는 1.8% 하락해 금융주가 1.8% 내림세를 나타냈다.
공포 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4.69% 상승한 24.34를 나타냈다.
pkh@tf.co.kr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F주간政談] '꿩 먹고 알 먹은' 文대통령 펀드 투자…"다음은 어디죠?"
- [속보] 코로나19 신규 확진 580명…사망자 19명
- 조덕제 결국 법정 구속…반민정 "6년간 큰 고통에 삶 흔들려"
- [TF체험기] 갤럭시S21 실물 확인해보니…20% 낮아진 가격, 만족감은 200%↑
- [TF프리즘] 이낙연의 승부수, 현실성과 공감 부족
- 유튜버 변신 박현주 회장 "'트렌드' 보고 꾸준히 투자하라" 조언
- 검찰, 조국 오촌 조카에 2심도 6년 구형…"권력으로 시장 농단"
- [TF업앤다운] 희비 엇갈린 ★가정…결혼 발표→층간소음 논란
- 카카오게임즈 '패스오브엑자일' 또 변신, 이번엔 무엇을 담았나
- [TF초점] 왜 '박원순 의혹'이 거기서…"무죄 주장에 판단 불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