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루다가 쏘아올린 규제의 공..개인정보보호 강화 움직임

황병서 2021. 1. 16. 09: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를 둘러싼 혐오발언과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개인정보 규제 강화의 공'을 쏘아올렸다.

이루다와 관련해 현재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들이 집단소송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양종모 영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지난해 '인공지능 챗봇 알고리즘에 대한 몇 가지 법적 고찰' 논문에서 "AI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모든 개인정보 수집을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GDPR은 업계 입장에선 커다란 장애물이고 부담"이라며 "GDPR은 AI 알고리즘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챗봇 이루다. 이루다 페이스북 캡쳐 연합뉴스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를 둘러싼 혐오발언과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개인정보 규제 강화의 공'을 쏘아올렸다. 이루다와 관련해 현재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들이 집단소송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이에 따라 2차 법 개정에 돌입한 개인정보보호법(개보법)이 '유럽 GDPR' 수준으로 대폭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루다는 혐오 및 개인정보 유출 논란 끝에 딥러닝 모델을 폐기하면서 사실상 서비스를 종료했다. 16일 IT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EU)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이란 EU가 2016년 제정해 201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개인정보 보호 규정이다. GDPR에는 우리나라 개보법에 딱히 규정돼있지 않거나, 개보법보다 훨씬 강하게 규제하고 있는 조항들이 많다.

GDPR은 기업에는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평가를 시행하도록 강제하며, 관련 법령을 어겼을 경우 처벌도 우리보다 훨씬 강력하다. GDPR 위반 시 기업에 부과되는 과징금은 최대 2천만유로(약 267억원) 또는 글로벌 전체 매출액의 4%다.

미국 기업인 구글이 개인정보 제공 동의 절차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프랑스에서 과징금 5천만유로(약 680억원)를 받기도 했다. 국내 개보법은 과징금을 전체 매출액이 아닌 '위반 행위 관련 매출액의 3%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GDPR은 16세 미만 어린이의 개인정보는 보호자 동의를 얻도록 한다. 우리 개보법은 만 14세 미만으로 문턱이 더 낮다.

업계에서는 이루다 사건을 계기로 국내 개보법이 GDPR 수준으로 강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AI업계는 규제가 확대되면 기업들의 다양한 서비스 개발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한 AI 기업 관계자는 "이루다 때문에 AI 서비스를 바라보는 소비자뿐 아니라 투자자들 시선도 훨씬 까다로워질 것"이라며 "이제 막 꽃을 피우려는 산업인데 규제가 불쑥 늘어나면 큰 기업만 살아남고 스타트업은 죽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법학계에서도 GDPR 수준은 너무 과도한 규제라는 비판한다. 양종모 영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지난해 '인공지능 챗봇 알고리즘에 대한 몇 가지 법적 고찰' 논문에서 "AI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모든 개인정보 수집을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GDPR은 업계 입장에선 커다란 장애물이고 부담"이라며 "GDPR은 AI 알고리즘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소비자단체에서는 현행 법규가 개인정보의 주체인 개인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참여연대·민변 등은 최근 성명에서 "이루다 논란은 기업을 위해 개인정보를 기업 상품 개발에 거의 무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3법이 자초한 문제"라며 "열람권·삭제권 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개보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세계 각국은 AI 제품과 학습 데이터에 대해 제조물 책임법, 소비자 보호법, 평등법 등을 정교화하고 있다"며 "막연하고 기업 자율적인 AI 윤리에서 나아가, 시민의 안전과 기본권을 보호할 AI 규제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또 다른 AI 스타트업의 개발자는 "현재 공공 말뭉치 데이터는 쓸 만한 수준이 아니다"라며 "영미권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인류의 자료를 모아 전자정보로 저장하는 프로젝트)처럼 언어 자원을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국내는 너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보법 위반 과징금을 '전체 매출액의 3% 이하' 수준으로 상향하고 개인정보 주체의 권리를 소폭 강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개보법 2차 개정안을 이달 6일 입법예고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중이다. 황병서기자 BShwang@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