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호·조훈현 '전설의 師弟' 콤비, 각각 中 꺾고 승전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바둑의 전설로 불리는 이창호 9단과 조훈현 9단이 '중국의 전설' 녜웨이핑 9단·창하오 9단을 각각 꺾고 명불허전을 입증했다.
이창호·조훈현은 15일 서울 한국기원에서 열린 '바둑의 전설 국가대항전-제22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특별이벤트'에 나란히 출전했다.
이창호는 조훈현의 집에서 함께 살며 바둑을 배운 내(內)제자이며, 녜웨이핑과 창하오 역시 사제지간이다.
이창호와 조훈현이 함께 농심배 본선에 출전한 것은 지난 2006년 8회 대회가 마지막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바둑의 전설로 불리는 이창호 9단과 조훈현 9단이 ‘중국의 전설’ 녜웨이핑 9단·창하오 9단을 각각 꺾고 명불허전을 입증했다.
이창호·조훈현은 15일 서울 한국기원에서 열린 '바둑의 전설 국가대항전-제22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특별이벤트'에 나란히 출전했다. 이 대회는 '바둑 삼국지'로 불리는 농심배의 과거 추억을 소환하는 특별 이벤트로, 과거 세계 바둑의 주름을 잡았던 한국·중국·일본의 바둑 전설들이 2명씩 출전해 국가대항전을 벌인다.
이날 이창호는 녜웨이핑 9단에게 333수 만에 흑 15.5집 승을 거뒀고, 조훈현은 창하오 9단을 239수 만에 흑 불계로 꺾었다. 이창호는 조훈현의 집에서 함께 살며 바둑을 배운 내(內)제자이며, 녜웨이핑과 창하오 역시 사제지간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녜웨이핑·창하오는 중국 중국기원에서 온라인으로 대국장에 접속했다. 이창호·조훈현 역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온라인으로 바둑을 뒀다. 온라인 대국이 두번째라는 조훈현은 "예전에는 이런 일이 없었는데, 낯설었다"고 했다.
승리를 거둔 후 조훈현은 "오랜만에 두기도 했고, 창하오가 지각해서 마음의 안정이 안 됐다. 바둑이 제대로 안 됐지만, 운이 좋아서 이겼다"고 했다. 조훈현보다 약 5분 늦게 대국을 마친 이창호는 "중반쯤에 잘 풀려서 좋았다. 나중에는 저도 계산이 잘 안 돼서 실수했다"고 돌아봤다.
녜웨이핑은 대국 중 담배를 피우기도 했다. 다행히 온라인 대국이어서 이창호에게 담배 연기가 가지는 않았다. 이창호는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는 "녜웨이핑은 원래 담배를 태우시지 않나. 예전에는 직접 뵙고 바둑 둘 때도 피우셨다"고 떠올렸다. 그러면서 "직접 뵙고 뒀다면 훨씬 좋았을 것 같은데 상황이 영 여의치 않았다. 하지만 이렇게라도 둘 수 있어 영광이고 기쁘다"고 말했다.
이창호와 조훈현은 오는 17일 일본 전설들과 맞붙는다. 조훈현은 요다 노리모토 9단, 이창호는 고바야시 고이치 9단과 겨룬다. 이창호는 "고이치 선생님과는 진짜 오랜만에 만난다. 기풍도 저와 흡사하게 두셨던 분이라 더 즐겁고 기쁜 마음으로 배우겠다"고 말했다.
이창호는 농심배 최다 출전 기록(13번)과 본선 최다 승수(19승 3패)를 기록한 농심배 전설 중의 전설이다. 이창호와 조훈현이 함께 농심배 본선에 출전한 것은 지난 2006년 8회 대회가 마지막이었다.
이번 대회는 개인 승수가 많은 국가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개인 승수가 같으면 주장 대결의 승수가 많은 국가가 우승한다.
우승 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2500만원, 3위 상금은 1500만원이다. 제한 시간은 각자 1시간에 초읽기 1분 1회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치킨보다 싼 대게… "다 이유가 있었네"
- “매도창구 이 증권사 뜨면 폭포 쏟아진다”… 코스닥 소형주 주의보
- 방산에 가려졌던 한화의 '효자'… 매출 1兆 알짜로 등극
- 서현, 가슴 중앙+치골 라인 뻥 뚫린 파격룩 입고 산책
- 외국인이 안 사는 유일한 반도체株… 공매도까지 '급증'
- "셰프까지 고용했다" 사양산업 벗어난 PC방의 비결은…
- [B스토리] 김치는 손 맛이라고?...年 3000억 매출 ‘종가집’ 비밀은 유산균
- "언제 누구한테 팔릴지 모른다" 흔들리는 '넥슨' 어쩌나
- "삼성·LG·SK도 찾아요"… 미래 배터리가 점 찍은 '이것'
- "中 투자하고 말지" 日 증시 활황에도 韓은 냉랭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