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한국인 43% "코로나19 백신 나와도 맞을 생각 없다"

최미랑 기자 2021. 1. 15. 15: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미국 택배회사 UPS 노동자가 13일(현지시간) 켄터키주 루이빌의 무하마드 알리 국제공항에서 미국 화이자·독일 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백신이 담긴 컨테이너를 옮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한국인 다섯 명 중 한 명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와도 접종을 원치 않는다는 내용의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젊을수록 접종을 안 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뚜렷하게 높았다.

여론조사기관 피앰아이(PMI)는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2월 이후 코로나19 백신이 보급된다면 백신 주사를 맞을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1.8%가 ‘접종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접종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37.5%였다.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은 연령별 차이가 컸다. ‘접종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60대에서 5.8%에 그쳤으나 50대 10.0%, 40대 17.7%, 30대 31.6%, 20대 42.9%로 연령이 낮을수록 높아졌다.

백신 주사가 나와도 곧바로 맞기 보다는 3개월 이상 지켜보겠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백신 주사를 언제쯤 접종하기를 희망하냐는 질문에 전체의 9.9%만이 ‘보급되는 즉시 접종하겠다’고 응답했다. ‘보급 1~2개월 이후’라고 답한 응답자는 15.5%, ‘3~4개월 이후’는 28.7%, ‘5개월 이후’는 23.1%였다. 이 문항에 ‘백신 접종은 절대로 안 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사람도 22.8%에 달했다.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때 제조사(브랜드)를 정부에서 지정해 주는 데는 거부감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 브랜드를 정부에서 지정해 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79.2%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4일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79%포인트다.

최미랑 기자 ra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