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뉴욕시 세입자들, 코로나로 못낸 집세 2조원 넘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충격으로 미국 뉴욕 아파트에 거주하는 세입자들이 내지 못해 밀려 있는 임대료가 20억달러(한화 약 2조 2000억원)를 웃도는 것으로 추정된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뉴욕의 임대업자 이익단체인 '커뮤니티 주택개선 프로그램(CHIP)'이 임대업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8만 5000가구가 내지 못한 임대료가 평균 6000달러(약 659만원), 총 11억달러(약 1조 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만 5000가구 집세 11억달러 밀려 있어
조사 안한 곳 합치면 20억달러 넘을듯
입대업자들 주정부에 지원 확대 촉구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뉴욕의 임대업자 이익단체인 ‘커뮤니티 주택개선 프로그램(CHIP)’이 임대업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8만 5000가구가 내지 못한 임대료가 평균 6000달러(약 659만원), 총 11억달러(약 1조 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뉴욕시 임대용 아파트 절반 가량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아파트까지 포함하면 세입자들의 밀린 집세는 20억달러 이상일 것이라고 CHIP은 추산했다.
CHIP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정부가 세입자에 대한 지원금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달 미 의회가 통과시킨 9000억 달러(약 987조원) 규모 경기부양안에는 밀린 집세를 처리하기 위한 예산 13억달러(약 1조 4000억원)가 뉴욕주(州)에 할당됐다.
임대업자들은 여기에 지방정부 예산을 추가해 밀린 집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제이 마틴 CHIP 전무이사는 “뉴욕주에서 관련 예산 10억달러를 추가로 받게 되면 뉴욕시 전체의 모든 세입자들의 밀린 집세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뉴욕시가 이용 가능한 금액이 어느정도인지 불분명한데다,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 요건이 까다롭다는 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연방정부의 임대 지원금 약 3억달러가 12월까지 지급되지 않았다. 또 뉴욕주는 1억달러(약 1096억 원)의 세입자 지원금을 배정했지만, 신청요건이 까다로워 40%(4000만달러)밖에 지원되지 않았다.
뉴욕주는 집세를 내지 못한 세입자의 강제 퇴거를 오는 4월 말까지 금지하고 있다.
방성훈 (bang@edaily.co.kr)
Copyright©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끌해서 집샀는데, 한달만에 1억 폭락"…대세하락기?
- 法, 박원순 성추행 인정에 나경원 "후보 낸다는 與 뻔뻔해"
- 남의 집 들어가 나체로 쉬던 남성 체포
- “정인이, 울면 극심한 고통 찾아와 울지도 못했다”
- 반민정, 조덕제 실형에 "6년간 큰 고통, 전부 잃어…뜻깊은 선례로 남길"[전문]
- [언팩2021]"얼굴은 완전히 다른데"…아이폰 기능 품은 ‘갤럭시S21’
- 김상교, 효연 "못봤다"는데도 "승리랑 친하니까"
- 비트코인 비번 까먹은 美 남성, '2600억' 날릴 위기
- 사과하고 법정가도…윤서인 ‘막말사(史)’
- 이경규 출연료 미지급 논란 언급 "개에게 물려가며 번 돈 한 푼도 못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