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소유'보다 '경험' 원해.. 대세는 구독경제"

황혜진 기자 2021. 1. 15. 1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객 취향을 저격하는 맞춤형 서비스가 구독경제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이학연(사진) 서울과학기술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15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대한상공회의소 경영콘서트에서 '구독경제, 비즈니스 지형을 바꾸다'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하며 패션·음원·모빌리티(이동서비스) 등 구독경제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학연 서울과기대 교수 포스트코로나 ‘비즈니스 트렌드’ 강연

고객취향 파악 후 서비스 제공

넷플릭스 같은 콘텐츠가 각광

AI·빅데이터 역량 강화가 필수

국내기업도 디지털전환 나서야

“고객 취향을 저격하는 맞춤형 서비스가 구독경제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이학연(사진) 서울과학기술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15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대한상공회의소 경영콘서트에서 ‘구독경제, 비즈니스 지형을 바꾸다’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하며 패션·음원·모빌리티(이동서비스) 등 구독경제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구독경제 전문가인 이 교수는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상한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세대)는 제품의 ‘소유’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원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도 단순 제품 판매에서 제품이 제공하는 기능이나 최종 결과물을 지속해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구독경제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했다. 화장품·꽃처럼 특정 상품을 정해진 날짜에 배송받는 ‘정기배송형’, 고가의 자동차·미술품·가전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구독료만 내는 ‘렌털형’, 영화·음원처럼 디지털 콘텐츠를 월정액만 내고 무제한 구독하는 ‘무제한형’이다.

구독경제의 성공 요인에 대해 이 교수는 “넷플릭스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소비자 취향 분석과 개별 맞춤 추천 서비스가 핵심 성공요인”이라며 “‘제2의 넷플릭스’로 각광받고 있는 스티치픽스, 펠로톤, 스포티파이도 가성비가 아닌 나만의 코디네이터 서비스, 나만의 트레이너 서비스, 나만의 DJ 서비스와 같은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제조업에서도 빅데이터 기반의 구독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나이키가 출시한 구독서비스는 유통채널을 거치지 않고 제조사가 직접 개별 소비자에게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선별해 추천하는 D2C(Direct to Customer) 방식입니다. 식기세척기, 에어컨, 조명 등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자료를 수집해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주목받고 있죠. 구독경제의 핵심은 개인별 맞춤 결과물을 제공해 고객이 아무것도 요구할 필요가 없는 상태를 최대한 구현하는 것입니다.

이 교수는 국내 기업들도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의 강연은 유튜브(대한상공회의소 인사이트)와 대한상의 홈페이지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황혜진 기자 best@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