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막판까지 中때리기..샤오미 등 9개 中기업 블랙리스트 추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기가 불과 엿새밖에 남지 않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 때리기' 행보를 이어갔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이날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 샤오미와 국영 항공기 제조업체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 등 9개 중국 기업에 대해 "군사 용도로 활용되는 등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블랙리스트' 명단에 추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규 투자 금지..旣투자는 11월 11일까지 처분해야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이날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 샤오미와 국영 항공기 제조업체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 등 9개 중국 기업에 대해 “군사 용도로 활용되는 등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블랙리스트’ 명단에 추가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막바지에 대중 강경책이라는 유산을 공고히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평했다.
미 국방부가 이들 9개 기업과 함께 블랙리스트 추가를 검도했던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등 3곳은 제외됐다. 알리바바와 텐센트 두 회사의 시가총액만 1조 3000억달러(한화 약 1414조 5300억원)에 달해 금융시장에 끼치는 충격이 큰데다, 뮤추얼펀드 등 기관투자자부터 개인 투자자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경제적 파장을 우려해 미 재무부가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 국방부는 지난해 6월과 8월 “인민해방군이 소유 또는 지배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영업 활동을 하고 있는 회사”라며 화웨이,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하이크비전, 등이 포함된 31개 중국 기업 리스트를 작성해 의회에 제출했다. 미 국방부는 1999년 관련법 제정 이후 매년 이 리스트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했지만 실행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이후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은 31개 중국 기업에 미국인이 펀드나 주식을 통해 투자할 수 없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내렸고, 같은달 미 국방부는 중국 최대 반도체업체 SMIC, 중국건설기술 ,중국국제전자상무중심그룹(CIECC), 중국건설기술(CCT), 중국해양석유(CNOOC) 등 4곳을 추가했다.
행정명령은 지난 11일부터 발효됐으며, 투자 포기 기간은 오는 11월 11일까지로 정해졌다. 이에 따라 이날 블랙리스트에 추가로 이름을 올린 9개 기업에 대한 미국인 또는 기업들의 신규 투자가 금지되며, 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11개월내 전량 처분해야 한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방성훈 (bang@edaily.co.kr)
Copyright©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언팩2021]"얼굴은 완전히 다른데"…아이폰 기능 품은 ‘갤럭시S21’
- "영끌해서 집샀는데, 한달만에 1억 폭락"…대세하락기?
- 차익매물 쏟아진 셀트리온, 저가매수 기회일까
- “정인이, 울면 극심한 고통 찾아와 울지도 못했다”
- 이경규 출연료 미지급 논란 언급 "개에게 물려가며 번 돈 한 푼도 못 받아"
- 김상교, 효연 "못봤다"는데도 "승리랑 친하니까"
- "야구선수 출신 폭행에 남편 IQ 55 됐다"…가해자 징역 2년
- 비트코인 비번 까먹은 美 남성, '2600억' 날릴 위기
- 사과하고 법정가도…윤서인 ‘막말사(史)’
- '언니한텐' 유수진 "아이 낳는 기계인가 싶었다"…4번의 유산 고백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