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 DICC소송 불확실성, 아직 안 끝났다-삼성證

김소연 기자 2021. 1. 15. 08: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증권은 15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해 DICC소송은 사실상 승소했지만 이는 불확실성 중 하나가 해소된 것일 뿐이라며 투자의견 'HOLD(보유)'와 목표주가 9200원을 유지했다.

한영수 연구원은 "FI들이 아직 DICC 지분 20%와 동반매도청구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매각 작업 마무리를 위해 FI 지분을 두산인프라코어가 매입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또 두산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를 분할해 영업부문만을 매각하려는 것도 불확실성 중 하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증권은 15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해 DICC소송은 사실상 승소했지만 이는 불확실성 중 하나가 해소된 것일 뿐이라며 투자의견 'HOLD(보유)'와 목표주가 9200원을 유지했다.

전날 대법원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자회사(이하 DICC) 관련 소송에서 원심을 파기환송했다. 사실상 두산인프라코어의 승소로, 자칫 패소시에는 재무적 투자자(FI)에 7천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물어줘야 했다는 점에서 두산인프라코어 측에는 호재다.

그러나 아직 FI들이 보유한 DICC 지분의 처리, 기업 분할 이슈가 남아있다.

한영수 연구원은 "FI들이 아직 DICC 지분 20%와 동반매도청구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매각 작업 마무리를 위해 FI 지분을 두산인프라코어가 매입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또 두산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를 분할해 영업부문만을 매각하려는 것도 불확실성 중 하나다.

한 연구원은 "그룹에 잔류하는 주체가 모회사인 두산중공업과 합병한다면 현 인프라코어 주주 입장에서는 보유 중인 건설기계(인프라코어) 주식 일부가 발전장비(두산중공업) 주식으로 변환되는 것"이라며 "지금 인프라코어의 낮은 밸류에이션은 이 같은 불확실성에 대한 시장의 할인으로 해석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가슴선 드러낸 앤 해서웨이, 흘러내릴 듯 과감하네강재준 "2세 계획, 관계 많지 않아" 솔직 고백'미스트롯2' 김사은, 진한 키스 퍼포먼스 남자는 누구?15살 어린 '입양아들'과 불륜…곧 출산 예정인 인플루언서이경규 "4개월 한 푼도 없이 일, 눈탱이 맞아"
김소연 기자 nicksy@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