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세키 최고작이자 패배작

한겨레 2021. 1. 15. 05: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책&생각] 이현우의 언어의 경계에서

그 후나쓰메 소세키 지음, 윤상인 옮김/민음사(2003)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 가운데 가장 널리 읽히는 소설은 초기작 <도련님>과 후기작 <마음>이다. 지인의 권유로 쓰게 된 첫 작품 <나는 고양이로소이다>(1905)가 예상 밖의 호응을 얻으면서 소설 창작의 길로 들어서지만 소위 ‘근대소설’로의 진입은 늦춰진다. 지금까지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도련님>도 무모한 성격의 시골학교 교사가 벌이는 권선징악적 모험담이었다. 근대적 개인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고 근대사회를 묘사의 대상으로 삼는 본격적인 근대소설은 소세키가 도쿄제국대학 교수직을 그만두고 아사히신문사의 전속작가로 전직하면서 계기가 마련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마침내 이르게 되는 지점이 문제작 <산시로>(1908)다.

소세키의 최고작이라고 평가받을 만한 <그 후>(1909)는 이런 사전설명이 불가피한 소설이다. 제목의 ‘그 후’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기 위해서라도 앞에 어떤 인물 혹은 이야기가 있었던가를 확인해야 한다. 소세키의 직접적인 해명에 따르더라도 <그 후>는 <산시로>에 뒤이은 이야기로, 주인공 산시로의 뒷이야기이기도 하다. 또한 <그 후>의 주인공 다이스케의 결말 이후도 독자에게 ‘그 후’에 대한 궁금증을 갖게 한다. 소세키의 답변은 후속작 <문>을 통해서 주어진다. 그렇게 해서 주인공은 각기 다르지만 <산시로>와 <그 후>, <문>은 3부작으로 묶인다(그 뒤를 잇는 세 편의 ‘후기 3부작’과 구별하여 통상 ‘전기 3부작’이라고 부른다). 각각을 독립적인 작품으로도 읽을 수 있지만 소세키의 의도를 감안하면 연쇄적인 작품으로 읽는 독법이 필요하다.

<그 후>를 최고작으로 평한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이 소설이 놓인 위치 때문에 가능하다. 3부작의 가운데에 놓여 있으면서 ‘본론’에 해당하는 작품이 <그 후>다. 시골 출신의 청년 산시로가 제국대학의 신입생으로 난생처음 대도시 도쿄에 와서 겪게 되는 새로운 경험(학문과 연애가 대표적이다)을 다루고 있는 <산시로>가 ‘서론’이란 것을 염두에 두면, 본론이다(서론적인 면을 고려해야 주인공의 무력감 같은 <산시로>의 특이한 면들이 이해된다). 산시로가 근대세계의 입문자 형상이라면 다이스케는 대결자의 모습이다. 무사 집안 출신으로 메이지유신 이후 사업가로 성공한 부친의 차남인 다이스케는 대학을 졸업하고도 일부러 직업을 갖지 않은 ‘고등유민’이다.

다이스케는 경제적으로 아버지와 형에게 의존하고 있지만 사고와 인식에 있어서는 독자적이다. 그는 급속한 근대화로 변모한 일본사회 문제들에 대한 예리한 관찰자이면서 비판가이다. 동시에 그는 자신의 용모를 섬세하게 관리하는 심미가이기도 하다. 유럽소설에서 도식을 가져오자면 다이스케는 예술가적 태도로 아버지와 형으로 대표되는 시민계급에 맞선다. 문제는 다이스케의 그러한 입지 자체가 생활 면에서는 기생적이라는 데 있다. 아버지가 권유하는 혼사를 거절하고 자신이 결혼을 주선까지 했던 친구의 아내와 사랑에 빠지게 되자 다이스케의 입지는 흔들린다. 친구의 고자질로 아버지와 형은 그에게 의절을 선언하고 다이스케가 갑작스레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거리로 나서는 게 소설의 결말이다. 열린 결말이기는 해도 다이스케에게 가능한 ‘그 후’ 이야기가 낙관적이긴 어려울 것이다.

<그 후>가 최고작이라는 평가는 이 소설에서 근대사회에 대한 인식과 비판이 최대치로 표현돼 있다는 판단에 근거한다. 소세키 소설의 성취라고 할 수 있지만 동시에 이 성취는 그의 패배이기도 하다. 주인공 다이스케의 몰락이 시사하는 바대로 근대에 대한 소세키의 응전이 이후에는 점차 무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소세키 문학이 일본 근대문학의 최대치인 것을 감안하면 그의 패배는 일본 근대문학의 패배이기도 하다. 이후에 군국주의로 폭주하는 일본을 일본문학은 제지할 수 없었다. 문학의 역할과 의의가 어디까지인가를 확인시켜준다는 면에서도 소세키는 좋은 교본이다.

서평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