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한국 불매운동 속 흑자전환..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패스트패션(SPA) 브랜드 유니클로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의 영업이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하며 분기 단위론 사상 최고치에 버금갔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패스트리테일링은 2021 회계연도 1분기(지난해 9~11월) 영업이익이 약 1,131억엔(약 1조1,919억원)으로 전년 동기(916억엔)보다 23.3% 증가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패스트리테일링 지난해 9~11월 영업이익 1조1,000억원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분기 영업이익..총매출은 감소
한국서 "매출 감소했지만 지출 통제 강화해 이익률 개선"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패스트리테일링은 2021 회계연도 1분기(지난해 9~11월) 영업이익이 약 1,131억엔(약 1조1,919억원)으로 전년 동기(916억엔)보다 23.3% 증가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컨센서스) 1,015억엔을 웃도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분기 영업이익으론 2년 전 기록한 1,139억엔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총매출액은 6,197억엔으로 작년(6,234억엔)보다 0.6% 떨어졌다.
패스트리테일링은 “일본과 중화권(중국·홍콩·대만)에서 큰 이익을 얻었고 지유(GU)도 성과를 냈다”라고 영업이익 증가 배경을 설명했다. 지유는 패스트리테일링이 보유한 다른 패션브랜드다.
오카자키 다케시 패스트리테일링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유명 디자이너 질 샌더와 협업하는 등 마케팅을 강화한 것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브랜드별로 ‘유니클로 재팬’의 영업이익이 600억엔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해 동기(385억엔)에 견줘 55.8%나 뛰었다. 한국과 중국을 포괄하는 ‘유니클로 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은 414억엔으로 1년전(378억엔)과 비교해 9.5% 늘어났다.
패스트리테일링은 중화권에서 큰 이익을 얻었고 2020 회계연도에 손실이 발생했던 한국에서 적자가 해소된 점을 이익 증가 이유로 꼽았다. 특히 한국 유니클로와 관련해 “매출은 급격히 감소했지만, 수익이 나지 않는 영업점들을 닫고 지출 통제를 강화하며 판매관리비와 매출총이익률이 개선돼 흑자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장 예상치를 뛰넘는 실적에도 패스트리테일링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2021 회계연도 전망치 ‘총매출 2조2,000억엔·영업이익 2,450억엔’을 유지하기로 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말정산 간소화 15일 개통...연봉 3,083만원 이하 4인가족 공제증빙 안 챙겨도 전액환급
- 버닝썬 고발자 '다 봤잖아, 효연아…'마약 여배우'가 누군지' 증언 촉구…SM, 즉각 반박
- '테슬라로 131억 대박'…美 39세 직장인 '은퇴합니다'
- 한때 '외계인이 만든 칩' 명성 높았는데…인텔 기술 인재 내쫓자 와르르
- '비밀번호가 생각 안나'…비트코인 2,600억원 날릴 위기
- 유재석 ''무한도전' 시즌2 쉽지 않아…멤버들 모으는 것 불가능'
- 中업체, CES서 'LG 롤러블 TV' 자사 제품으로 버젓이 홍보
- 미등록 지인차량 안 받아줬다고 경비원 코뼈 함몰시킨 30대男
- 제주 랜딩카지노 145억 도난 사건 공범 2명 있었다…경찰 추적 중
- 학교·어린이집 근무 '성범죄 경력자' 80명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