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 "AI, 생체인식, ICT, 빅데이터 결합 통합 보안플랫폼 구축"

서기열 2021. 1. 14. 15: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보안업계 1위 에스원이 코로나19 이후 시장 변화에 따라 올해는 인공지능(AI), 생체인식,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통합 보안 플랫폼'을 선보이겠다고 14일 밝혔다.

에스원은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올해 보안업계에 △AI 기술을 탑재한 지능형 보안솔루션의 확산 △생체인증을 접목한 무인솔루션 증가 △ICT를 활용한 정보보안시장 확대 △빅데이터를 적용한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이 트렌드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탑재 지능형 보안솔루션 확산, 생체인증 접목 무인솔루션 증가
ICT 활용한 정보보안시장 확대, 빅데이터 적용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 2021년 보안업계 트렌드 전망
노희찬 "통합 보안플랫폼으로 보안업계 1위 확고히 하겠다"

국내 보안업계 1위 에스원이 코로나19 이후 시장 변화에 따라 올해는 인공지능(AI), 생체인식,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통합 보안 플랫폼'을 선보이겠다고 14일 밝혔다. 플랫폼을 통해 시장 1위 사업자의 위치를 확고히 굳히겠다는 전략이다.

에스원은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올해 보안업계에 △AI 기술을 탑재한 지능형 보안솔루션의 확산 △생체인증을 접목한 무인솔루션 증가 △ICT를 활용한 정보보안시장 확대 △빅데이터를 적용한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이 트렌드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흐름을 주도하기 위해 에스원은 올해 '통합 보안 플랫폼' 구축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 기술혁신을 위한 연구개발(R&D) 조직을 사업부 조직과 통합하고, 물리보안사업과 빌딩관리사업 조직을 하나로 합칠 계획이다.

에스원 통합관제센터 전경


통합 보안 플랫폼의 첫걸음으로 AI와 빅데이터 기술력을 활용한 '스마트건물관리 솔루션'을 곧 출시할 예정이다. 상주 인력 없이도 사물인터넷(IoT)센서를 설치해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가 파악되면 현장으로 출동하는 서비스다. 통합 보안 플랫폼의 생체인증 기술은 무인매장의 비대면 출입 관리를 위한 얼굴인식 시스템에 적용한다. 정확도가 99.9%에 달하는 에스원의 얼굴 인증 기술을 스터디카페, 세탁소, 노래방 등 무인화가 진행되고 있는 업종에 적용할 '맞춤형 무인 솔루션 패키지'를 출시할 계획이다.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정보보안 상품인 에스원ESP는 통합 보안 플랫폼의 ICT서비스를 맡는다. 최근 선보인 화상회의솔루션, 문서중앙화 솔루션으로 정보보안 시장을 적극 공략 한다는 게 회사의 방침이다.

노희찬 에스원 사장은 “코로나19 시대 변화된 고객의 생활환경과 패턴에 부합하는 기술이 향후 보안상품의 가치가 될 것”이라며 “올해는 AI, 생체인증, ICT, 빅데이터 등 에스원의 기술력을 활용해 업계 1위의 지위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