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에 시드니 아파트 임대료 추락..8년만에 최저

정동철 2021. 1. 14. 15: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주 시드니의 아파트 임대료가 공급과잉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메인의 선임 연구원 니콜 파월 박사는 "시드니 도심과 인근 아파트 임대료는 작년 3월 시작된 코로나 팬데믹으로 타격을 받아 8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면서 "1년 전과 비교해 주당 임대료가 40호주달러(약 3만4천원) 낮아져 2004년 이래 최대의 하락폭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드니=연합뉴스) 정동철 통신원 = 호주 시드니의 아파트 임대료가 공급과잉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3월 코로나19 봉쇄령으로 텅빈 호주 시드니 CBD 거리 EPA/DEAN LEWINS AUSTRALIA AND NEW ZEALAND OUT

14일 호주 일간 시드니모닝헤럴드는 호주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의 보고서를 인용해 작년 4분기 광역 시드니의 아파트 임대료가 3분기에 비해 5.1%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도메인의 선임 연구원 니콜 파월 박사는 "시드니 도심과 인근 아파트 임대료는 작년 3월 시작된 코로나 팬데믹으로 타격을 받아 8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면서 "1년 전과 비교해 주당 임대료가 40호주달러(약 3만4천원) 낮아져 2004년 이래 최대의 하락폭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지역적으로는 시드니 도심과 가까운 북부 연안이 5.7%로 하락폭이 가장 컸고, 중서부와 서부 지역이 각각 5.1%와 4.8%로 뒤를 이었다.

반면 시드니 시내에서 멀리 떨어진 센트럴 코스트와 북부 해변 지역의 아파트 임대료는 각각 2.6%와 5% 상승세를 기록했다.

파월 박사는 "시드니의 임대료는 최근 몇 년간 신규 아파트 공급 과잉으로 이미 약세를 보이고 있었다"면서 "팬데믹으로 외국 유학생과 방문자의 임대 수요가 증발하면서 더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시드니 도심 아파트의 경우 이전보다 35%까지 할인된 임대료를 제시해도 세입자를 구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드니 CBD 부동산 업체 레이 화이트의 마이클 로던 대표는 "세입자들은 모든 협상 카드를 거머쥐고 까다로운 조건을 제시하며 여유롭게 집을 구할 수 있는 형편"이라면서 "시내의 방 2개짜리 아파트 임대료가 주당 1천 200호주달러(약 100만원)에서 850달러(약 72만원) 수준으로 급락했다"고 밝혔다.

종합금융회사 AMP 캐피털의 셰인 올리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아파트) 건축이 둔화되고 있어 결국 공급이 감소하겠지만, 시내 임대 아파트는 한동안 높은 공실률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dcj@yna.co.kr

☞ 대륙이 열광한 '티베트족 훈남' 전자담배 흡연에 망신살
☞ 김수민 아나운서 '펜트하우스2' 스포일러 논란에…
☞ 전자지갑 비번 까먹은 남성, 두번 더 틀리면 2천600억 날린다
☞ 헤어진 연인 겁 주려다 엉뚱한 집 불 지를뻔한 50대
☞ 55억 뉴욕 아파트 구입한 정의선 현대차 회장…추측 무성
☞ 브루스 윌리스 '노 마스크' 망신…약국서 문전박대
☞ 3분간 인사만 했다던 이언주 15분 넘게 연설하고 악수도
☞ "비지스의 '홀리데이'를…" 극단선택 예감한 라디오 PD는
☞ '김치 논쟁' 놓고 중국 아나운서, 한국에 '소국' 막말
☞ "찍으라고 입은 거 아닌데" 레깅스 판결 또 뒤집힌 이유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