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지능형공장 보급 2만개 달성

2021. 1. 14. 14: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월 15일(금) '22년까지 3만개 보급을 목표로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을 지난해까지 약 2만개를 보급했다고 밝히면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20년도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중기부는 향후 정부 중심의 보급보다는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확산을 유인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을 역점 추진할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1월 15일(금) ’22년까지 3만개 보급을 목표로 역점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을 지난해까지 약 2만개를 보급했다고 밝히면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20년도 주요 성과를 발표했다.

 
‘20년도 주요성과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 스마트 제조 저변 크게 확대

(스마트화 저변확대) 스마트공장의 효과 입증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에 따른 수요 급증으로 당초 목표치(5,600개)를 초과한 7,139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다.

‘20년까지 누적기준으로도 목표치(17,800개)를 상회한 1만9,799개를 보급해 중소기업 스마트제조의 저변을 크게 확대했다.

* 스마트공장 보급(누적, 개) : (~’19, 실적) 12,660→(‘20, 실적) 19,799 →(‘21, 목표)23,800→(‘22, 목표) 30,000

* 스마트공장 보급(연도별, 개) : (’18, 실적) 2,900 → (’19, 실적) 4,757→ (’20, 실적) 7,139

<스마트공장 보급 추이(단위 : )>

(고도화율 증가) 고도화율은 25.5%(‘19년 지원, ‘20년 구축)로서 ’19년(17.9%)에 비해 증가됐다. 그 결과 ‘20년까지 누적 고도화 비율(중간 1 이상)은 22.1%로 나타났다.

전체 제조업 중 50인 미만이 대다수를 차지(’18년 98.1%) 하는 상황에서 투자 비용이 적은 기초수준 공장이 많이 보급되는 측면이 있다.

(업종별) 업종별로는 기계장비 18.0%, 자동차 부품 10.1%, 금속가공 13.8%, 전자부품 6.1% 등 주요 업종 중심으로 보급됐다.

특히 ‘20년도에는 유사 제조공정을 가진 업종의 특성을 반영해 공통 솔루션을 보급하는 업종별 스마트공장 지원을 신설해 식품·의약품·뿌리·금형 등 10개 업종을 특화 지원했다.

<스마트화 수준/업종별 스마트공장 현황(’20)>
·중소 상생형 등 민간주도 스마트공장 확산

(대·중소 상생형 등 민간주도 확대) 스마트공장 7,139개 중 대·중소 상생형과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등 민간 중심의 보급이 2,409개로 ‘19년(1,937개)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중소 상생형*에 참여하는 대기업 등이 ’19년도 10개에서 ‘20년도에는 18개로 대폭 증가했으며, 민간이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 후 스마트공장 수준 확인을 받은 기업 역시 증가(’19. 914개 → ‘20. 1,409개) 했다.

* 삼성형, 포스코형, 현대차형 등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이와 관련해 중기부는 향후 정부 중심의 보급보다는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확산을 유인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을 역점 추진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지원유형별 보급현황(단위 : )>

 
구분 ~‘17 ‘18 ‘19 ‘20 합계
정부지원형 3,495 2,221 2,820 4,730 13,266
민간중심 보급 대·중소 상생형 1,508 679 1,023 1,000 4,210
수준확인 - - 914 1,409 2,323
소 계 1,508 679 1,937 2,409 6,533
합 계 5,003 2,900 4,757 7,139 19,799
 

코로나19 확산에 신속히 대응해 케이(K)-방역 성공모델 제시,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스마트 리쇼어링 지원 등 다양한 성과 창출

(케이(K)-방역)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방역물품 수요 급증에 따라 민·관이 협력해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신속히 지원해 대량 생산체제 전환 등 케이(K)-방역의 성공모델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18년부터 대·중소 상생형에 참여해 지금까지 1,409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한 바 있는데, 특히 코로나19 여파에서 제조혁신 전문가(20여명)를 현장에 파견해 자재관리, 물류동선 최적화에서부터 포장 공정개선, 자동화설비 도입 등을 지원하여 단기간내 진단키트, 마스크 등 핵심 방역물품의 대량 생산을 도왔다.

* 진단키트(㈜솔젠트) : 재고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작업효율 향상 및 진단키트 제조 효율 극대화를 이뤄 생산성 73%, 매출액 568% 증가

* 마스크(㈜화진산업) : 제조라인 최적화 및 설비 효율화를 통해 생산성 50% 향상되어 노마진 마스크 100만개를 공영홈쇼핑에 기탁

케이(K)-방역의 신뢰성과 생산성 향상은 국내기업의 해외 수출 증대 뿐만 아니라 방역 모범국가로서의 위상 제고에 기여했다.

* 방역물품 기업 스마트공장 지원(20개) : 마스크 10개, 진단키트 5개, 손소독제 3개, 보안경 2개

(스마트 리쇼어링) ’20년도 추경예산에 긴급히 반영해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에 대응, 유턴기업에 대해 스마트공장·협업로봇을 패키지 지원(7개사, 총 28억원) 해 초기의 생산설비 투자 부담을 완화시키고, 자동화 기반으로 생산성 향상을 지원했다.

 
‘21년 추진방향
 

중기부는 그동안의 스마트제조 저변확대 성과를 바탕으로 ‘양적 보급 중심에서 질적 고도화로 전환’을 위해 지난해 스마트제조 2.0 전략(‘20.7), 스마트 제조혁신 실행 전략(’20.11)을 마련했다.

올해부터는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중소기업 제조혁신 정책과 함께 보급 정책도 질적 고도화로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 내용은 ▲보급사업 지원체계를 고도화 중심으로 개편*, ▲케이(K)-스마트등대공장** 지원 등 제조혁신의 선도사례 확산, ▲KAMP***와 연계한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 활성화, ▲맞춤형 사후관리 지원 강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과 창출 등이다.

* 레벨 향상에 따라 차등 지원((기존) 신규 1억원, 업그레이드(고도화) 1.5억원) → (개선) 기초 0.7억원, 고도화1 2억원, 고도화2 4억원)

** 세계경제포럼(WEF)의 등대공장(Lighthouse Factory)을 벤치마킹,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선도형 스마트공장

*** 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 Korea AI Manufacturing Platform)

아울러, 중기부는 추진방향을 반영한 스마트공장 사업체계를 개편하고 이에 대한 보급사업 지원계획을 올 1월말에 공고할 예정이다.

* 단, 케이(K)-스마트등대공장 지원사업은 기 공고(’21.1.7) 실시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제조혁신지원과 염정수 사무관(☎ 044-865-961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