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식동물이나 물고기 군집행동 뇌과학으로 푼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맹수의 공격에 맞서는 초식동물이나 상어에 대응하는 물고기 등이 군집행동을 할 때와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군집 뇌연구 시스템이 나왔다.
최지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박사팀과 이성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형센서연구실 박사팀은 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들의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지현 박사 "뇌질환 치료·집단지능 규명에 활용"
최지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박사팀과 이성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형센서연구실 박사팀은 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들의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초식동물이나 물고기, 새, 개미, 꿀벌 등은 개체보다 집단으로 행동하면 큰 힘을 발휘하나 집단지능의 원리는 뇌과학적으로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기술을 동물의 뇌에 장착, 뇌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빛의 반짝임으로 나타내주는 초소형 프로세서와 LED가 집적화된 실시간 무선 뇌파 측정·분석시스템(CBRAIN)을 개발했다. 반딧불이 무리가 동시다발적으로 반짝거리는 모습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 시스템을 실험동물의 뇌에 장착하면 뇌의 특정 부위에서 나오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LED가 반딧불이처럼 반짝이게 해 뇌 활동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는 동료와 같이 있으면 긴장이 누그러지는 사회적 완충 효과가 일어난다며 이를 집단 전체의 효율적 방어를 위한 역할 분담으로 해석했다. 최 박사는 “CBRAIN 시스템은 뇌과학자뿐 아니라 생태학, 통계학, 인공지능 등의 연구자도 활용할 수 있다”며 “인간의 사회적 뇌연구에 적용해 사회성 연구와 관련된 뇌 질환 치료에 활용하고 집단지능 원리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말정산 간소화 15일 개통...연봉 3,083만원 이하 4인가족 공제증빙 안 챙겨도 전액환급
- 제주 랜딩카지노 145억 도난 사건 공범 2명 있었다…경찰 추적 중
- '비밀번호가 생각 안나'…비트코인 2,600억원 날릴 위기
- '테슬라로 131억 대박'…美 39세 직장인 '은퇴합니다'
- 학교·어린이집 근무 중인 '성범죄 경력자' 80명 적발...체육시설 최다
- '약촌오거리 사건' 누명 피해자의 잃어버린 10년…20억으로 배상받는다
- 캐나다 여성, 통금시간에 산책하려 남편 목에 목줄 건 사연은?
- 인천 앞바다서 사흘새 급유선 2척 좌초…무슨 일?(종합)
- 美 '죽음의 개사료' 파동…최소 70마리 숨져 긴급 리콜
- 국내 최초 공개한 '모델 Y'부터 테슬라 차량 모두 시승 가능한 곳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