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자연] 쓰레기장 된 '신들의 섬' 발리..플라스틱으로 가득찬 바다

권윤희 입력 2021. 1. 14. 13:46 수정 2021. 1. 14. 13: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기에 접어든 인도네시아 발리섬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환경위생국이 지난 1일~2일 발리섬 꾸따, 르기안, 스미냑 해변에서 쓰레기 90t을 수거했지만, 몬순 기후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아지면서 치우기가 무섭게 쓰레기가 계속 쌓이고 있다.

2010년 바다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 1270만t 중 353만t이 중국발, 129만t이 인도네시아발이었다.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가장 많은 미국이 바다에 버린 쓰레기는 111만t 수준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3일 현지 환경단체는 수거 작업 이후에도 폭우로 인한 쓰레기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밤 폭우가 지나간 후 꾸따 해변은 다시 쓰레기장으로 변했다.

우기에 접어든 인도네시아 발리섬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환경위생국이 지난 1일~2일 발리섬 꾸따, 르기안, 스미냑 해변에서 쓰레기 90t을 수거했지만, 몬순 기후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아지면서 치우기가 무섭게 쓰레기가 계속 쌓이고 있다.

3일 현지 환경단체는 수거 작업 중에도 폭우로 인한 쓰레기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밤 폭우가 지나간 후 꾸따 해변은 다시 쓰레기장으로 변했다. 단체가 공개한 사진 속 꾸따 해변은 그야말로 물 반 쓰레기 반이다. 몬순 기후 영향으로 매년 우기마다 반복되는 일이지만, 밀려드는 쓰레기 양은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모양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에서 생산된 플라스틱은 83억t에 달한다. 연간 생산량은 3억t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1950년 200만t이었던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5년 3억2200만t으로 무려 160배 이상 늘어났다. 전 세계 인구의 몸무게를 모두 합한 3억1600만t과 맞먹는 수준이다. 플라스틱 제품 소비량도 페트병은 1분에 100만개, 일회용 비닐봉지 1년에 5조개로 어마어마하다.

문제는 사용한 플라스틱 쓰레기 대부분이 육지와 바다에 그대로 쌓이고 있다는 점이다. 1950년에서 2015년 사이 신규로 생산된 플라스틱 83억톤 중 현재도 사용 중인 건 25t 정도다. 나머지 58t 중 7억t은 소각됐고, 46억t은 그대로 버려졌다. 재활용된 것은 고작 5억t이다. 이마저도 4억t은 재활용 후 소각되거나 최종 폐기됐다.

이 중 바다로 흘러든 플라스틱 쓰레기를 모아 70m 높이로 쌓으면, 그 면적은 맨해튼 섬을 통째로 뒤덮고도 남을 정도다. 지금도 매년 100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신규로 바다에 유입되고 있다. 2050년이면 바다에 물고기보다 쓰레기가 더 많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포오션이 공개한 발리 젬브라나 해안의 모습.
지난달 포오션이 발리 젬브라나 해안에서 수거한 플라스틱 빨대.

바다 쓰레기 60%는 중국과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5개국 책임이다. 특히 중국과 인도네시아 영향이 크다. 2010년 바다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 1270만t 중 353만t이 중국발, 129만t이 인도네시아발이었다.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가장 많은 미국이 바다에 버린 쓰레기는 111만t 수준이었다.

이는 열악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낳은 결과다. 인도네시아 발리는 2019년부터 비닐봉지와 스티로폼, 플라스틱 빨대 등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했다. 수도 자카르타도 지난해부터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하지만 비효율적인 쓰레기 처리 시스템 탓에 플라스틱 쓰레기는 바다로 계속 흘러들고 있다. 특히 우기에는 해변 전체가 쓰레기로 뒤덮혀 발디딜 틈이 없다.

지난해 중국에서는 배에서 나온 각종 쓰레기를 바다에 버리는 어부들이 포착돼 논란이 인 바 있다.
지난달 포오션 작업자들이 인도네시아 발리 젬브라나 해안에서 구조한 대모거북.

발리 우다야나대 해양과학센터 소장인 게데 헨드라완 박사는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인도네시아의 쓰레기 처리시스템”이라면서 “시스템을 손보기 시작한 지도 얼마 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와얀 코스테르 발리 주지사도 “적절한 장비와 인적 자원을 갖춰 쓰레기 수거 시스템을 정비해야 할 것”이라면서 “특히 우기에는 24시간 내내 시스템을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적절한 쓰레기 처리에 대한 인식 부족도 심각하다. 지난해 중국에서는 배에서 나온 각종 쓰레기를 바다에 버리는 어부들이 포착돼 논란이 일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