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원대 '5G 온라인 요금제' 내놓는 SKT..통신업계 요금 경쟁 '가속'
유보신고제 적용 상품 첫 출시
알뜰폰 시장 경쟁력 약화 우려에
SKT "도매대가 인하해 제공"
[경향신문]
SK텔레콤이 월 3만원대의 5G 온라인 요금제를 출시한다. 알뜰폰 경쟁력 약화 우려를 불렀던 SKT의 신규 요금제가 정부 허가를 받음에 따라 이동통신업계에 5G 요금제 다양화 경쟁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2월29일 SK텔레콤이 신고한 LTE 및 5G 이용약관인 ‘LTE/5G 언택트 플랜 요금제’에 대해 법률 검토와 전문가 의견 청취 등을 거쳐 수리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SKT는 15일 5G 요금제 3종 및 LTE 요금제 3종 등 총 6종으로 구성된 ‘언택트 플랜’을 출시한다.
‘언택트 플랜’은 온라인을 통해 가입이 가능한 요금제로 약정·결합 조건 및 요금제 부가혜택 등을 없애고 기존 상품보다 요금을 약 30% 낮췄다. 5G 요금제는 월 3만8000원에 데이터 9GB 제공, 월 5만2000원에 데이터 200GB 제공, 월 6만2000원에 데이터를 무제한 제공하는 신규 요금제 3종이 신설됐다. SKT 측은 “1인 가족 및 비대면 채널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트렌드를 고려해 이동통신 서비스 요금에 대한 고객의 선택권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SKT의 신규 요금제는 ‘가성비’ 높은 5G 중저가 요금제로 주목받았으나 알뜰폰 요금 시장의 경쟁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며 정부의 승인 여부에 업계 관심이 집중됐다. 지난해 12월부터 시행된 유보신고제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신고한 이용약관이 이용자 이익이나 공정경쟁을 저해하지 않는지 검토한 후 이를 수리 또는 반려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수리 이유에 대해 온라인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SKT의 신규 요금제가 비대면화 추세에 대응하고, 유통비용을 절감해 요금 인하를 한 측면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요금제 출시로 인해 알뜰폰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 SKT는 시장에서 알뜰폰사업자들의 경쟁이 가능하도록 도매대가를 인하해 제공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아울러 SKT가 5G 요금제 중·소량 구간에 대해서도 조속한 시일 내에 추가 신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언택트 플랜’은 새로 도입된 유보신고제하에서 출시된 첫 요금제라는 점에서 향후 통신업계 사업자 간 요금 다양화 경쟁을 촉발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KT는 지난해 10월 5G 중저가 요금제를 내놨고, LG유플러스는 지난 10일 가족을 비롯해 지인까지 결합 가능한 5G 요금제를 선보였다.
노정연 기자 dana_fm@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방부 전 대변인 “천공, 지난해 한남동 공관 방문…전 육참총장에 들었다”
- 송중기, 아빠 된다…“혼인신고 하고 오는 길”
- 현아·던, 결별 2달 만에 재결합?
- ‘목욕탕이냐’ 한달 수도요금 650만원 왜?
- 4인 가구 전기요금, 지난해보다 1만1000원 오른다
- ‘국민의힘 대표 출마’ 30대 천하람 “이준석 넘어설 것”
- 박정희 기념에 1200억 쓰고도…“1000억 더”
- ‘박은정 검사 남편’ 이종근 검사장 사의
- “건초더미서···” 호주, 1400㎞ 고속도로 수색 끝 손톱 크기 방사성 캡슐 찾았다
- ‘썩은 배추’로 김치 만들어 판 ‘김치명장 1호’ 재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