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원전 삼중수소 논란, 정치 아닌 과학으로 풀길

2021. 1. 13.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월성 원전에서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의혹을 정치쟁점화하고 있다.

여당 지도부가 총출동, 연일 "월성원전 부지 내에서 삼중수소가 다량 검출됐다"는 지역 방송의 보도를 확대재생산하면서다.

이번 논란은 "월성 원전부지 내 지하수에 삼중수소 기준치(4만 베크렐/L)의 최대 18배가 검출됐다"는 한 지역방송의 보도가 도화선이 됐다.

삼중수소 기준치는 본래 '원전 내 측정기준'이 아니라 '배출허용 기준'으로 정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우병 사태가 반면교사
아니면 말고식 괴담 곤란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13일 월성원전 1호기 삼중수소 유출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월성 원전에서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의혹을 정치쟁점화하고 있다. 여당 지도부가 총출동, 연일 "월성원전 부지 내에서 삼중수소가 다량 검출됐다"는 지역 방송의 보도를 확대재생산하면서다. 그러나 정작 관리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은 12일 "삼중수소 외부 유출은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한수원 노조도 "월성 원전 수사를 피하기 위해 물타기를 하는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 불필요한 논란을 해소하는 게 국정에 무한책임을 진 여권이 취할 자세라고 본다.

이번 논란은 "월성 원전부지 내 지하수에 삼중수소 기준치(4만 베크렐/L)의 최대 18배가 검출됐다"는 한 지역방송의 보도가 도화선이 됐다. 삼중수소 기준치는 본래 '원전 내 측정기준'이 아니라 '배출허용 기준'으로 정한다. 유출되지도 않았는데 엉뚱한 기준을 갖다 붙여 위험성을 과장한 보도의 팩트 자체가 틀린 셈이다. 이를 토대로 한 해석이 왜곡됐다면 더 큰 문제다. 삼중수소는 방사능 물질이지만 음식물 등 자연 상태 어디에서나 검출된다. "삼중수소로 인한 지역 주민의 1년간 피폭량이 멸치 1g을 섭취했을 때와 같다"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설득력을 갖는 이유다.

그런데도 여당은 원전 안전성 논란을 재점화할 태세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11일 "시설 노후화에 따른 월성원전 1호기 폐쇄가 불가피했다는 점을 다시 확인했다"고 말했다. 심지어 당직자들은 "감사원이 안전은 뒤로 하고 경제성 타령만 해왔다"며 방사능 유출을 기정사실화했다. 문재인정부가 임명한 정재훈 한수원 사장조차 "극소수 (환경)운동가가 주장한 무책임한 내용"이라며 유출 가능성을 부인하는데도 그렇다.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 그리고 당시 야당이 뚜렷한 근거 없이 미국산 쇠고기의 위험성을 과장하는 바람에 빚어진 2008년의 광우병 사태를 떠올릴 게 할 정도다.

그러니 여권이 경제성 조작이 핵심인 감사원의 감사 결과를 폄하하려는 의도 아래 삼중수소 논란을 키우려 한다는 의심을 자초하는 것이다. 오죽하면 한수원 노조에조차 검찰 수사의 김을 빼려는 속셈으로 읽혔겠나. 물론 만사 불여튼튼이란 말도 있다. 그런 관점에선 "월성 원전 관리체계에 문제가 없는지 국회 차원의 조사도 검토하겠다"(김태년 원내대표)는 말에 굳이 토를 달 까닭은 없다. 그러나 광우병 소동의 재판이 안 되려면 과속 탈원전을 밀어붙이기 위한 정략이 아닌 과학으로 안전성을 따져보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