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더 나은 디지털 세상 향한 '룰 세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가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향한 '룰 세팅'에 나섰다.
'기술과 사람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비전의 일환으로 '증오발언 근절을 위한 카카오의 원칙'을 수립한 것이다.
카카오는 13일 공식 브런치 글을 통해 "온라인 증오발언(hate speech)을 근절하고 모두에게 안전한 디지털 환경이 만들어지도록 4개 원칙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카카오가 세운 증오발언 근절 원칙은 공개 게시물 영역에 한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공간 문제해결은 기업 디지털 책임"
[파이낸셜뉴스] 카카오가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향한 ‘룰 세팅’에 나섰다. ‘기술과 사람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비전의 일환으로 ‘증오발언 근절을 위한 카카오의 원칙’을 수립한 것이다. 이른바 기업의 디지털 책임(CDR) 구현이다.
카카오는 13일 공식 브런치 글을 통해 “온라인 증오발언(hate speech)을 근절하고 모두에게 안전한 디지털 환경이 만들어지도록 4개 원칙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국가와 지역 등 출신, 인종, 외양, 장애 및 질병 유무, 사회 경제적 상황 및 지위, 종교, 연령, 성별, 성 정체성, 성적 지향 또는 기타 정체성 요인 등을 이유로 특정대상을 차별하거나, 이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며 일방적으로 모욕하거나 배척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러한 차별에 기반해 특정인과 특정 집단을 공격하는 발언을 증오발언으로 정의한다”고 덧붙였다.
증오발언은 이용자 정서적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사회적 배척과 물리적 폭력을 유발한다는 게 카카오 설명이다. 카카오는 “증오발언은 다양한 이용자가 발언에 나설 자유를 위축시킬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신뢰와 건강성을 저해한다”며 “이용자의 인권과 존엄성을 훼손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증오발언에 강경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카카오 서비스 이용자는 특정인 및 집단에 대한 폭력을 선동하거나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는 발언에 유의해야 한다는 게 카카오 당부다. 다만 이용자는 타인의 존엄성과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한 여전히 공공정책이나 신념 등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카카오는 “증오발언을 근절하기 위해 앞으로도 정책, 기술, 서비스 기획 및 디자인을 고도화해 나가겠다”며 “사내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내부로부터의 차별과 증오발언을 경계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가 세운 증오발언 근절 원칙은 공개 게시물 영역에 한한다. 카카오톡의 사적 대화공간, 메일, 톡서랍 등 개인화한 서비스와 커뮤니티 비공개 게시글 등은 프라이버시 존중을 최우선 가치로 적용할 방침이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두 아이 엄마를 25t 트럭이..비극 영상에 한문철 안경 벗고는
- "엄친아인데 결혼식 하객이 왜..." 남편 정체에 경악한 사연
- "사촌 동생이 도박해요"…홀덤펍서 불법도박 알선한 업주 등 2명 송치
- 25세 태국 여성의 정체..75억에 성북동 200평 주택 매입 완료
- 전현무 "프랑스고 나발이고 일본을..." 왜 급 흥분했나?
- "자산 25억, 키 180cm" 상남자의 진지한 중매 전단 논란
- '김연경·남진' 논란에 탁현민 뜻밖의 발언 "김제동은.."
- 주유소에서 돈 던진 벤츠, 여성 알바생 바닥에 쭈그려..논란
- 尹 지지율, 1.7%P 내린 37%…'난방비 폭등' 부정적 영향[리얼미터]
- 40대 여성 장애인, 지하주차장서 웅크린 자세로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