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22만명 급감..'고용성적표' IMF 이후 최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고용성적표는 지난 1998년 환란 이후 22년 만에 최악 수준이었다.
2020년 한 해 동안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22만 명 가까이 줄어들면서 실업자 수는 111만 명 선까지 치솟았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는 2,690만 4,000명으로 전년 대비 21만 8,000명 줄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실업자수 111만명 육박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는 2,690만 4,000명으로 전년 대비 21만 8,000명 줄었다. 이는 1년 만에 취업자가 127만 명 넘게 감소했던 1998년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정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63년 이후 취업자가 전년보다 줄어든 때는 △1984년 오일쇼크 △1998년 외환 위기 △2003년 신용카드 대란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 등 네 차례에 불과하다.
취업자 감소 실태를 연령별로 나눠 보면 생산 활동의 주축인 30대(16만 5,000명 감소), 40대(15만 8,000명 감소)에서 두드러졌고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16만 명 감소)이 가장 큰 충격을 받았다. 반면 고정적인 월급을 받아 ‘괜찮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상용직에서는 지난해 코로나19 쇼크에도 취업자가 늘어(30만 5,000명) 고용 시장에서도 ‘K양극화’가 심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 큰 문제는 올해도 고용 사정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확산의 여파가 반영된 12월 고용 시장을 보면 취업자 수가 2,766만 1,000명으로 전년 대비 62만 8,000명이나 급감했다. 정부도 최소한 올 1월까지는 최악의 고용 한파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서일범기자 squiz@sedaily.com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약촌오거리 사건' 누명 피해자의 잃어버린 10년…20억으로 배상받는다
- 연말정산 간소화 15일 개통...연봉 3,083만원 이하 4인가족 공제증빙 안 챙겨도 전액환급
- 美 '죽음의 개사료' 파동…최소 70마리 숨져 긴급 리콜
- '비밀번호가 생각 안나'…비트코인 2,600억원 날릴 위기
- '테슬라로 131억 대박'…美 39세 직장인 '은퇴합니다'
- 캐나다 여성, 통금시간에 산책하려 남편 목에 목줄 건 사연은?
- 인천 앞바다서 사흘새 급유선 2척 좌초…무슨 일?(종합)
- '살인자 양부모 사형해라'...법원 앞 모인 엄마·아빠들 엄벌 촉구
- 국내 최초 공개한 '모델 Y'부터 테슬라 차량 모두 시승 가능한 곳은?
- 빌 게이츠, LG화학에 '소아마비 백신 개발 감사'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