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 전셋값 상승 1위는 '경기 하남'

황혜진 기자 2021. 1. 13. 12: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경기 '하남시'로, 50%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아파트 3.3㎡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17.3% 높아졌다.

하남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1월 3.3㎡당 1168만5000원이었는데 12월에는 1755만4000원으로 50.2%(586만9000원)나 뛰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만랩 제공.

50.2%상승…세종·광명·화성 뒤이어

지난해 전국에서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경기 ‘하남시’로, 50%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부동산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아파트 3.3㎡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17.3% 높아졌다. 지난해 1월 평균 전셋값은 952만2000원이었는데 12월에는 1116만9000원으로 상승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상승률을 기록한 곳은 경기 하남시였다. 하남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1월 3.3㎡당 1168만5000원이었는데 12월에는 1755만4000원으로 50.2%(586만9000원)나 뛰었다. 지난해 8월 지하철 5호선 연장 하남선 1단계 구간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수요가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세종 천도론’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들썩인 세종시가 그 뒤를 이었다. 세종의 아파트 전셋값은 이 기간 46.4% 상승했다. 3.3㎡당 전셋값으로 보면 지난해 1월 581만7000원에서 12월 851만3000원으로 높아졌다.

경기 광명시가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월 3.3㎡ 당 평균 1417만9000원에서 12월 1981만5000원으로 39.7%(563만6000원) 올랐다. 이 밖에 경기 화성시 39.3%, 용인시 38.9%, 성남시 32.1%, 남양주시 30%, 구리시 30% 등 순이었다. 서울에서는 서울 성북구가 28.4%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정부의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등 임대차 정책이 오히려 전세 매물 품귀를 촉발하는 등 부작용을 내면서 전셋값 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전·월세 신고제까지 시행되면 전세시장이 더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계약갱신청구권으로 전세 매물이 부족해진 상황에서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까지 줄어들면서 수급 불균형에 따른 전세난은 당분간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황혜진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