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일상 2년 차에 온라인·콘텐츠 강화에 나선 국립예술 단체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일상 2년째를 맞이한 국립예술단체들이 온라인 관객을 위한 영상화 사업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그 중 국립오페라단은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크노 마이오페라(KNOmyOpera·이하 마이오페라)'를 2월중 출범시킨다.
국립오페라단은 우선 지난해 코로나19 때문에 편성됐던 공연 온라인 중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영상화 사업을 시도해 확보된 영상들을 마이오페라에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코로나19로 보편화된 온라인 실황 중계에 대응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3차원 다면 입체 음향과 시네마 카메라 도입을 시도했던 코리안심포니도 올해 이를 더욱 확대한다. 공연때마다 초고화질인 4K급 영상 촬영과 3차원 다면 입체 음향 녹음을 진행한다. 이를 축적해 관객 확장을 위한 ‘3D 입체 음향 음악감상회’ 등 급변화되는 공연 현장에 따라 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코리안심포니는 다양한 웹콘텐츠 개발에도 나선다. 콘텐츠 소비 플랫폼이 모바일과 웹으로 이전됨에 따라 클래식 저변확대를 위한 노력이다. 클래식 초심자를 대상으로 클래식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웹진 ‘월클’에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 음악칼럼니스트 신예슬과 김태희 등 더욱 다양한 필진들이 참여해 새로운 시선의 클래식 이야기를 전한다. 관현악 입문을 돕기 위한 ‘클래식한 잡학 사전’도 시작한다. 클래식 입문자들이 궁금해하는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정보를 애니메이션으로 풀어낸다. 클래식의 새로운 확장성을 모색한 ‘클래식 리믹스’도 놓칠 수 없다. 동시대 음악 작업에 능통한 DJ 최영, 윤소진, 위지영이 클래식 콜라주를 선보인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음원에 가요, 정가, 일상음 등을 리믹스하여 코로나19 시대의 오늘을 담아낸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박선희 대표는 “2021년은 음악적으로 ‘다양성’이 돋보이는 해로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지휘자로부터 클래식을 보다 다채롭게 경험하는 시즌이 될 것”이며 나아가 “지속가능한 클래식 생태계를 위해 코리안심포니가 새로운 변화를 꾀하는 중요한 시기로 음악적 성취뿐만 아니라 건강한 클래식 시장의 토대를 닦고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단체의 역할과 책임을 확장하는 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폼페이오 “트럼프도 김정은도 판문점 회동에 文동행 원치 않았다” [특파원+]
- 63세 선우은숙 ‘재혼’ 유영재와 늦둥이 준비? “낳으면 언니가 키워준다고∼”
- 지상파·종편·케이블까지 꽉 잡은 오은영 박사…괜찮은 걸까?
- “절대 안돼” 시부모 자고 간다니 소리 지른 며느리, 결국 부부싸움
- “신지, 서장훈 만나 자식 하나만 낳아라” 토니안 母, 깜짝 제안
- 울산 고교 한국사 교사, 수업 중 “尹, 왜 20대 지지율 높은지 이해 안돼”…교육청 조사
- “안 씻으면 침대서 안 잔다”는 임수향은 ‘女 서장훈’? 집서 며칠 ‘떡진 머리’ 생활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