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대왕고래 대화를 포착했다

김만기 2021. 1. 13. 10: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 공동연구진이 멸종위기종인 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와 긴수염고래의 소리를 찾아내 일반에 공개했다.

극지연구소는 남극바다에서 기록된 수십만 시간 길이의 소리에서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의 소리만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는 지구에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들로, 물속에서 멀리까지 전파되는 저주파(약 20Hz)의 소리를 발생해 서로 대화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극지연구소, 10만건 이상의 고래신호 자료 공개
긴수염고래. 게티이미지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제 공동연구진이 멸종위기종인 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와 긴수염고래의 소리를 찾아내 일반에 공개했다. 이번 공개된 10만 건 이상의 고래 신호 자료는 인공지능(AI)기술과 만나 고래의 시공간적인 움직임을 파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극지연구소는 남극바다에서 기록된 수십만 시간 길이의 소리에서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의 소리만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남극바다에서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의 활동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극지연구소와 호주 남극연구소, 미국 해양대기청, 프랑스 브리타니 대학, 남아공 프레토리아 대학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남극의 소리를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는 무인자율 수중음향 관측 장비를 도입해 지난 20여 년간 30만 시간의 자료를 확보했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남극바다에 설치한 관측망을 활용해 멸종 위기종 및 다른 해양동물들의 서식 연구와 더불어 기후변화가 남극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연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저주파 소리의 특징을 활용해 음향관측 자료에서 이들 고래의 소리를 자동으로 찾아내는 방법을 개발했다. 2014년 대왕고래 신호의 경우 세종기지 근처에게 가장 많이, 장보고기지 근처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대왕고래는 출산을 위해 열대바다로 이동했다가 새끼와 함께 5000㎞를 헤엄쳐 먹이가 풍부한 남극해로 돌아오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는 지구에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들로, 물속에서 멀리까지 전파되는 저주파(약 20Hz)의 소리를 발생해 서로 대화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소리는 개체 수나 활동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하지만, 이전에는 전문가들이 수작업으로 관측 자료를 분석해 시간과 비용 소모가 많았고, 분석결과의 통일성도 떨어졌다. 남극바다에서 오랜 시간 체계적인 관측이 힘든 것도 고래연구의 어려운 점으로 꼽혔다.

극지연구소와 미국 해양대기청 공동으로 남극해에서 운영하는 무인자율 수중음향관측 장비. 해양 계류형으로 1년 이상 장기 관측이 가능하며, 수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음원 포착과 식별에 용이하다. 생태계 연구 외에도 바다와 맞닿은 빙하의 움직임 등을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극지연구소 제공
거대 고래들은 배설물이 광합성을 하는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거나 죽은 후 다량의 탄소를 품고 바다로 가라앉아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는 20세기 들어 각각 수십만 마리가 포획돼 멸종위기 종으로 지정됐으며, 관측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개체 수 파악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됐다. 수중음향 관측 장비는 남극 빙하의 움직임 파악에도 활용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