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로 이사 온 주민 1위는 강남구 거주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서울에서 합계출산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각광받는 서울 성동구로 최근 3년간 가장 많이 이사 온 주민은 강남구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는 구정 전반의 도시정책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주민등록시스템 통계를 토대로 최근 3년간의 주민등록 인구 이동 및 전입신고 시 주민이 직접 기재한 전출입 사유 등을 분석해 13일 발표했다.
특히 성동구는 일자리와 교육이 인구 순유입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에 주목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구 순유입 증가는 '일자리·교육' 분석
[서울신문]
지난해 서울에서 합계출산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각광받는 서울 성동구로 최근 3년간 가장 많이 이사 온 주민은 강남구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강남구로부터 인구 순유입이 증가한 이유가 ‘일자리’와 ‘교육’ 때문으로 분석했다.
성동구는 구정 전반의 도시정책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주민등록시스템 통계를 토대로 최근 3년간의 주민등록 인구 이동 및 전입신고 시 주민이 직접 기재한 전출입 사유 등을 분석해 13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성동구로 가장 많이 이주한 곳은 강남구로 9172명이 이사 왔다. 이어 광진구 5666명, 동대문구 5336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 사유를 분석한 결과 ‘주택’(37.6%), ‘가족’(24%), ‘직업’(19.9%), ‘기타’(6.7%), ‘교육’(6.6%)의 순으로 높았다.
특히 성동구는 일자리와 교육이 인구 순유입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에 주목한다. 그간 성동구는 민선 6기 이후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 여건 개선을 구정 최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왔다. 성수동 지역 지식산업센터 유치, 소셜벤처밸리 조성, 전국 최고 수준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의 급속한 성장으로 늘어난 일자리가 전입 인구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
구는 교육여건 개선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금호고와 도선고 2개 고교가 신설됐고, 2014년 25억원에 머물렀던 학교 교육경비가 올해에는 60억원으로 늘어났다. 반면 최근 3년간 성동구에서 동대문구로 9681명, 광진구로 8475명, 강남구로 6930명이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올해도 구민들 삶의 질을 높이는 체감도 높은 정책들을 추진해 ‘살고 싶은 도시 성동’ 만들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9년간 함께한 반려견이 납치돼 죽어서 돌아왔습니다 [김유민의 노견일기]
- 화살 쏴 친구 실명시킨 초등생…“교사도 책임, 2억여원 배상”
- 고양이 죽여놓고 낄낄… 현실판 악마를 보았다
- 20년 전 연루됐던 부패 혐의… 99세에 재판받는 佛 회장님
- ‘굿캐스팅’ ‘대장 김창수’ 출연 배우 여배우 성추행…경찰 조사
- ‘대구 여자 촌스럽다’ 주장에 발끈한 野의원 “대구는 패션의 도시”
- ‘공군부대 치킨 환불 갑질’ 논란에 軍 ‘화들짝’…입장 발표(종합)
- 징역 1075년형 받은 터키 사이비교주의 변명 “여자친구가 1천명”
- 제주 카지노 사라진 145억 미스터리…홍콩본사가 왜 제주에 거액 현금 보관?
- “코로나 재택 후 남편이 사촌동생과 바람 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