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공동선 자본주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할 대안이 될 수 있을까.
공동선 자본주의의 요체는 이렇다.
공동선 자본주의의 저작권이 루비오에게 있는 건 아니다.
오스트리아의 크리스티안 펠버가 '공동선 경제' 체제를 제안하는 등 다수 경제학자들이 이미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동선 자본주의의 요체는 이렇다. 즉 기업이 이윤 창출만 극대화할 게 아니라 일자리 창출과 근로자 복리후생 증진이라는 공공선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루비오 의원이 보수의 토대인 공동체가 위기를 맞고 있다며 해결책으로 내놓은 개념이다. 다만 독실한 가톨릭 신자에다 히스패닉인 그가 단순히 정치적 야심 때문에 양극화 해소에 총대를 멨다고 보긴 어렵다. 지난해부터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어소시어츠 회장 등 미국의 억만장자들도 '불평등 담론'에 가세하고 있어서다.
공동선 자본주의의 저작권이 루비오에게 있는 건 아니다. 오스트리아의 크리스티안 펠버가 '공동선 경제' 체제를 제안하는 등 다수 경제학자들이 이미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 이는 공유가치의 창출을 강조하는 '자본주의 5.0' 버전 격이다. 자본주의는 애덤 스미스의 자유방임형 고전자본주의(1.0)를 첫머리로, 1920년대 대공황기 케인스의 수정자본주의(2.0), 1970년대 말 시장 자율에 방점을 찍은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3.0)를 거쳐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따뜻한 자본주의(4.0)로 진화해 왔다.
이는 좋은 일자리 보장을 핵심으로 인간의 존엄, 연대와 사회정의 등에 초점을 맞춘 윤리적 시장경제로 비친다. 이를 위해 펠버는 기업의 성과를 기존의 재무적 대차대조표 대신 공동선 대차대조표로 측정하자고 제안한다. 그러나 아직은 현실성이 검증되지 않은 설익은 패러다임이다. '주주의 이익이 경시되면 누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기업에 투자할 것인가'라는 원초적 의문이 생기는 탓이다. 그래서 김 비대위원장조차 "(소속 의원들이) 다른 경제철학도 관심을 가지라는 뜻"이라고 선을 그었을 법하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2년간 7번 임신' 본능아내 "남편과 부부관계 싫진 않아"
- "정우성·문가비 만남, 오래된 現연인과 잠시 헤어졌을 때"…새 주장(종합)
- 박나래, 얼굴에 멍 자국 "강남 아빠한테 맞았다"
- 한가인 "소개팅 경험 有…남친 군대 있을 때 나갔다"
- 유흥주점 30대 여성 숨진 채 발견…바닥에 피 흥건
- 이영애, '김여사 연관설' 제기한 유튜버 상대 손배소 패소
- 포클레인에 결박 당한 전처…1년 헬스로 힘 키워 전 남편 보복 살인
- 국제부부 남편 "외도 했지만 성관계 無…벌거벗고 스킨십만"
- '햄버거집 계엄 모의' 노상원…성폭력 전과에 역술인 활동까지
- 1등 나오자 "너도 빨리 사"…회사 동료 10억씩 복권 당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