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만기연장 대출 126조..금융권 초긴장

윤원섭,이새하,김유신 2021. 1. 12. 17: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위, 만기 재연장 방침에
잠재부실 '폭탄돌리기' 우려
이자도 못내는 중기·소상공인
절반가량 부실채권化 가능성
은행, 자금 선제확보 나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중 원리금 상환이 유예된 규모가 12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3월 연장 시한을 앞두고 재연장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잠재된 금융 부실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아울러 은행 유동성 지표는 기존 기준에 턱없이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염려가 더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예 기간이 끝난 직후 금융사 부실과 금융시장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경고하고 있다.

1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정책금융기관, 시중은행, 제2금융권 등 전 금융권이 지난해 2월 7일부터 이달 8일까지 코로나19 사태 명목으로 지원한 규모가 총 277조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대출 만기 연장은 126조원으로 전체 지원금 중 45.5%에 달했다.

또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정책금융기관과 시중은행에서 납입 유예된 이자는 총 101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 등 6대 은행에서 이자 납입이 유예된 원금은 총 4조369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부터 코로나19로 어려움에 빠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를 최소 6개월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당초 신청 기한을 한 차례 연장해 올 3월까지 연장된 바 있다.

그러나 미뤄진 원리금 상환은 '숨어 있는 부실'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원리금 상환과 이자 납입 유예는 최대 6개월, 원금 만기 연장은 최대 1년이라 오는 3월 신청한다고 해도 올해 말, 내년 초에 결국 상환 시기는 돌아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금까진 돈이 많이 풀리고 금융 지원 조치를 취해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다"며 "유예 조치가 끝나면 연체율이 급격히 올라갈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 "126조원이라는 막대한 돈에 대해 대출 만기가 연장됐지만 금융사에서는 정상 여신으로 분류하고 있다"며 "상환 유예가 끝나고 이걸로 금융사에 부실이 찾아오면 금융위기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국내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0.34%로, 작년 같은 달보다 0.12%포인트 하락했다. 대출액이 늘어난 반면 금융 지원 조치로 새로 잡히는 연체 금액은 크지 않아서다. 부실이 숨겨진 상황에서 이연되는 것이다.

은행들도 위기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출금 상환을 미룬 상태라 돈을 빌려준 기업에 대해 신용평가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가 터진 지 1년이 지났는데도 돈을 빌려준 기업과 자영업자의 건전성이 코로나19 전과 똑같이 유지되고 있다"며 "은행으로서는 부실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충당금을 쌓을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프로그램을 재차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의 평균 통합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90.08%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당국이 규제 완화 조치를 내놓기 전 준수 비율인 100%를 밑도는 수치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 은행이 코로나19로 민간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이 규제 비율을 일시적으로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해 통합 LCR를 100%에서 85%까지 인하했다. 지난해 9월 종료 예정이던 이 조치는 한 차례 연장돼 올 3월 만료를 앞두고 있다. 금융당국이 규제 완화를 급격히 중단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윤원섭 기자 / 이새하 기자 / 김유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