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영화로 본 미래 방사선의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래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는 소설이나 영화 같은 대중매체에서 싹트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로봇이다.
SF 영화에서는 미래 과학기술이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으로 나타난다.
그중 2013년에 개봉된 '엘리시움'은 2154년 우주선이나 로봇이 일상이 된 미래를 보여 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미래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는 소설이나 영화 같은 대중매체에서 싹트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로봇이다. 로봇이란 용어는 1921년 체코 극작가 카렐 차페크의 희곡에서 처음 사용됐다. 약 100년이 지난 지금, 로봇은 일상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다.
SF 영화에서는 미래 과학기술이 보다 현실감 있는 영상으로 나타난다. 그중 2013년에 개봉된 ‘엘리시움’은 2154년 우주선이나 로봇이 일상이 된 미래를 보여 준다. 보는 이의 눈을 의심케 하는 첨단치료기기도 등장한다. 환자가 캡슐형 베드에 들어가면 컴퓨터가 뼈·조직 재건, 노화 방지는 물론 암 같은 모든 질환을 진단하고 즉시 치료한다. 그야말로 불로장생, 만병통치 의료기기이다. 이 첨단치료기기는 환자의 몸을 스캔해 얻은 영상을 해석해 진단하고 치료한다.
사실 비슷한 시스템은 현대의학에서도 사용 중이다. 에너지가 인체의 몸을 투과해 체내조직의 정보를 얻고, 몸속에 에너지를 넣어 종양 같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사선 의학이 그것이다. 최근 방사선 의학 분야에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에 의한 인공지능 판독기술이 개발 중이다. 이 연구의 결과물이 훗날 ‘엘리시움’의 첨단치료기기가 될 것이다. 1921년 희곡에서 로봇이 소개된 뒤 100년이 지난 2020년에는 로봇이 일상이 되고 있다. 2013년 영화에 등장한 치료기기는 100년 후인 2113년에 어느 정도 실현될까. 종양으로 사망하지 않는 행복한 미래를 상상해 본다.
박정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정인이 췌장 절단, 교통사고 당한 수준” 의사단체 의견서 보니
- “할머니의 잘못된 행동…3살 손녀 손가락 굳었다”
- [단독]김종인 “안철수 대응 말라…이러다 콩가루 집안 될라” 당내 신신당부
- “도와주세요” 영하 19도 한파에 내복입고 발견된 3살(종합)
- 9년간 함께한 반려견이 납치돼 죽어서 돌아왔습니다 [김유민의 노견일기]
- [단독] 성범죄자에 “입양 자격 있다” 판단한 입양기관
- [단독] 연애 상담 카톡에 올렸더니… ‘이루다’에 개인정보 줄줄
- 구독자 1400만 중국 유튜버의 김치가 분노 낳은 이유
- ‘굿캐스팅’ ‘대장 김창수’ 출연 배우 여배우 성추행…경찰 조사
- 아들이 죽었는데…60대 시아버지는 며느리를 또 성추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