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제주 지키려면 '생활쓰레기 처리' 최우선 과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도민들은 제주의 청정 환경 보전 등을 위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생활쓰레기' 문제를 꼽았다.
11일 제주도가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한 '제주 환경보전을 위한 도정정책 방향 도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우선순위 분야로 '생활쓰레기'가 53.4%를 기록하며 가장 높았다.
환경 보전과 개선 비용 확보 방법으로는 '환경오염시설 원인자 부담'(41.4%)을 가장 많이 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지하수 오염-해양쓰레기-미세먼지 順
제주도민들은 제주의 청정 환경 보전 등을 위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로 ‘생활쓰레기’ 문제를 꼽았다.
11일 제주도가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한 ‘제주 환경보전을 위한 도정정책 방향 도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우선순위 분야로 ‘생활쓰레기’가 53.4%를 기록하며 가장 높았다. 이어 지하수 오염(17.5%), 해양쓰레기(11.4%), 미세먼지(9.1%), 축산악취(7.6%) 순이었다.
생활쓰레기 처리 대책 정책은 ‘생활쓰레기 감량 및 1회용품 사용규제’가 40.9%로 1위였다. ‘생활쓰레기 처리시설의 안정적 운영’(21.1%), ‘재활용산업 육성 및 기반조성’(20.6%), ‘재활용도움센터 확대 구축’(15.3%)이 뒤를 이었다. 지하수 보전 대책으로는 ‘비료, 가축분뇨 등 지하수 오염원 관리’(56.5%)가 가장 높았다. 축산악취 해결 방안은 ‘지도단속 강화’(28.5%)와 ‘양돈농가 인식 제고’(28.5%)가 상대적으로 앞섰다. ‘제주악취관리센터 적극 운영’(27.0%), ‘액비 살포 기준 강화’(12.5%)도 제시됐다. 환경 보전과 개선 비용 확보 방법으로는 ‘환경오염시설 원인자 부담’(41.4%)을 가장 많이 들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18세 이상 도민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및 모바일앱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7% 포인트, 응답률 12.9%였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정인이 췌장 절단, 교통사고 당한 수준” 의사단체 의견서 보니
- “할머니의 잘못된 행동…3살 손녀 손가락 굳었다”
- [단독]김종인 “안철수 대응 말라…이러다 콩가루 집안 될라” 당내 신신당부
- “도와주세요” 영하 19도 한파에 내복입고 발견된 3살(종합)
- 9년간 함께한 반려견이 납치돼 죽어서 돌아왔습니다 [김유민의 노견일기]
- [단독] 성범죄자에 “입양 자격 있다” 판단한 입양기관
- [단독] 연애 상담 카톡에 올렸더니… ‘이루다’에 개인정보 줄줄
- 구독자 1400만 중국 유튜버의 김치가 분노 낳은 이유
- ‘굿캐스팅’ ‘대장 김창수’ 출연 배우 여배우 성추행…경찰 조사
- 아들이 죽었는데…60대 시아버지는 며느리를 또 성추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