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백신 접종순서 결정·인프라 구축, 늑장확보 再版 안 되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다음 달 말 시작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우선접종 대상자 계획안을 마련했다.
50세 이상 일반인과 경찰 군인 소방공무원 등 사회 기능 유지를 위한 직업군까지 합쳐 우선접종 대상자는 모두 3252만 명이다.
백신 접종 순서는 나라마다 제각각이지만 대부분 의료진과 고령층을 최우선 대상자로 정한다.
정부의 계획대로 11월까지 3252만 명의 접종을 끝내려면 매달 300만 명이 백신을 맞아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다음 달 말 시작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우선접종 대상자 계획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접종 1순위는 요양병원과 시설의 고령자들이고, 코로나 치료병원 의료진과 보건소 직원 등 코로나 1차 대응 인력이 2, 3순위다. 50세 이상 일반인과 경찰 군인 소방공무원 등 사회 기능 유지를 위한 직업군까지 합쳐 우선접종 대상자는 모두 3252만 명이다.
백신 접종 순서는 나라마다 제각각이지만 대부분 의료진과 고령층을 최우선 대상자로 정한다. 문제는 그 다음 순서인데 누구나 수긍할 만한 접종 순서를 정해 놓지 않으면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우선접종 대상인 전력 수도 가스 등 ‘필수산업 종사자’에 택배기사도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건강한 50대가 경찰 군인 보육교사보다 먼저 맞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을 수 있다. 정부는 각계의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합리적이고 공정한 우선순위를 마련해야 한다.
백신 접종 인프라 구축도 서둘러야 한다. 정부의 계획대로 11월까지 3252만 명의 접종을 끝내려면 매달 300만 명이 백신을 맞아야 한다. 접종 속도가 가장 빠른 이스라엘도 2주간 100만 명 남짓 접종하는 데 그쳤다. 백신 유통과 접종을 위한 의료 인력과 시설 등 백신 인프라를 단단히 구축해 백신 확보와 동시에 신속한 접종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또 접종자의 전후 기저질환과 접종 부작용까지 한번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마련하고 접종 누락이나 중복 접종을 막기 위한 대책도 세워두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전 국민 무료 접종 계획을 밝힘에 따라 우선접종 대상에서 빠진 일반인들도 연말부터 부담 없이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됐다. 비싸고 예방 효과가 높은 백신으로 선호도가 몰릴 경우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순덕의 도발]“북핵 불용” 문 대통령은 왜 말 못 하나
- 美민주, 하원서 트럼프 탄핵소추안 발의…내란선동 혐의 적용
- 국민 불안 극에 달하자…부동산 문제 사과한 文대통령
- 4년째…文대통령 신년사 ‘역시나 경제 자화자찬’
- [전문]‘20대 여대생 AI’ 이루다, 활동 중단…‘혐오 논란’ 사과
- 김일성·김정일처럼…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추대
- ‘北 2인자’라더니…김여정 후보위원 탈락 미스터리
- 설훈 “김정은 여름쯤 답방 가능성, 고립서 벗어나려면 서울부터…”
- 김종인 “안철수와 합당? 콩가루 집안”…야권 단일화 진통 커질듯
- 사면론 이어…이낙연 ‘코로나 이익 공유제’ 카드 꺼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