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설명자료] 이데일리, 뉴스1,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정부는 지속적으로 우선접종 권장대상에 대해서는 무료접종을 원칙으로 검토해오고, 관계 부처 간 협의를 지속해 왔습니다.
- 정부는 접종비용에 대한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이를 통해 최대한 신속한 예방접종과 집단면역 형성을 추진하기 위해 전 국민 무료접종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 백신구매비와 주사기 등 부대비용은 국가 재정에서 부담합니다.
- 이외에 일부 민간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접종비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에서 일부 부담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전 국민 무료접종으로, 접종비에 대한 재원은 국가재정과 건강보험기금 등을 통해 마련할 계획 (1월 11일, 이데일리, 접종예산 ‘0원’·접종계획 백지인데...문 대통령은 “2월부터 무료 접종”, 뉴스1, 우선접종대상자 백신 전액 무료..0∼49세 일반인은 접종시행비 유료 관련) |
□ 기사 주요내용
○ 이데일리, 접종예산 ‘0원’·접종계획 백지인데...문 대통령은 “2월부터 무료 접종”, 건강보험기금에서 조달 상황
뉴스1, 우선접종대상자 백신 전액 무료..0∼49세 일반인은 접종시행비 유료 등에 대해 논의 끝에 모두 무료 접종으로 결정
□ 설명 내용
○ 정부는 지속적으로 우선접종 권장대상에 대해서는 무료접종을 원칙으로 검토해오고, 관계 부처 간 협의를 지속해 왔습니다.
○ 예방접종을 시행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무료접종*을 시행하고 있고,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은 접종대상이 제한적이므로 신속한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 가능한 많은 국민들이 접종을 받을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 영국,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등
- 정부는 접종비용에 대한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이를 통해 최대한 신속한 예방접종과 집단면역 형성을 추진하기 위해 전 국민 무료접종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 백신구매비와 주사기 등 부대비용은 국가 재정에서 부담합니다.
○ 화이자와 같이 특수한 보관운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국가 재정에서 접종비용 일체를 부담하고,
- 이외에 일부 민간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접종비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에서 일부 부담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copyrightⓒ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