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거절에도 재차 "방역 협력"
한일관계 구체해법 못내놔
◆ 文대통령 신년사 / 남북관계·외교 분야 ◆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도 대화할 수 있다"며 북한 측에 대화를 촉구하고 나선 것은 올해가 사실상 남북관계 개선 마지막 기회란 절박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북한이 이미 거절한 '동북아방역보건협력체' 구상도 재차 제안하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문 대통령이 "북·미대화와 남북대화 대전환을 위한 마지막 노력"을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 유엔 동시 가입 30주년의 의미를 강조하며 "전쟁과 핵무기 없는 평화의 한반도야말로 민족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우리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상생과 평화의 물꼬가 트이기를 희망한다"며 "동북아방역보건협력체, 한·아세안 포괄적 보건의료 협력을 비롯한 역내 대화에 남북이 함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방역·보건대화 구상'은 이미 지난해 문 대통령이 남북대화를 위해 제안한 카드지만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우리 정부의 방역 협력, 개별 관광과 같은 제안을 "비본질적인 문제"라며 평가절하한 바 있다. 특히 북한이 조 바이든 미국 정부 출범을 앞두고 기선을 잡기 위한 강공책을 예고하고 있어 획기적인 남북관계 개선 계기가 마련될지는 불투명하다.
문 대통령은 또 바이든 정부 출범으로 주목받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며 가입 의지를 분명히 했다. 강제 징용 판결에 이어 최근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까지 내려지며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 관계에 대해 문 대통령은 "미래 지향적 발전을 위해서도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경운 기자 / 문재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정은경 "다음 주 일일 확진자 600∼700명 예측…고무적이다"
- 승진할줄 알았던 `넘버2` 김여정, 오히려 강등…무슨일이
- 이낙연 "코로나 호황 계층, 이익공유해야"
- 김종인 "콩가루 같은 정당"…안철수 거론한 중진들에 격노
- 경기 등 10여곳, 설 앞두고 재난지원금 `봇물`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