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정례브리핑)
입력 2021. 1. 11. 16:35 수정 2021. 1. 12. 19:0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정례브리핑)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 이하 방대본)는 1월 1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19명, 해외유입 사례는 32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9,114명(해외유입 5,75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8,22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821건(확진자 78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42,043건, 신규 확진자는 총 451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신규 격리해제자는 2,143명으로 총 52,552명(76.04%)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5,42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95명, 사망자는 1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140명(치명률 1.65%)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1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 이하 방대본)는 1월 1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19명, 해외유입 사례는 32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9,114명(해외유입 5,75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8,22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821건(확진자 78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42,043건, 신규 확진자는 총 451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신규 격리해제자는 2,143명으로 총 52,552명(76.04%)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5,42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95명, 사망자는 1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140명(치명률 1.65%)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1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신규 | 419 | 137 | 16 | 10 | 18 | 24 | 1 | 14 | 0 | 142 | 10 | 9 | 10 | 6 | 3 | 4 | 13 | 2 |
누계 | 63,3551) | 20,906 | 2,076 | 7,949 | 3,212 | 1,265 | 871 | 759 | 134 | 15,8461) | 1,401 | 1,320 | 1,737 | 849 | 548 | 2,557 | 1,468 | 457 |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1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추정)유입국가* | 확인 단계 | 국적 | |||||||
---|---|---|---|---|---|---|---|---|---|---|---|
중국 | 아시아 (중국 외) | 유럽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 아니아 | 검역단계 | 지역사회 | 내국인 | 외국인 | ||
신규 | 32 | 0 | 10 | 5 | 13 | 4 | 0 | 11 | 21 | 17 | 15 |
누계 | 5,759 | 34 | 2,668 | 1,002 | 1,839 | 194 | 22 | 2,557 | 3,202 | 3,146 | 2,613 |
(0.6%) | (46.3%) | (17.4%) | (31.9%) | (3.4%) | (0.4%) | (44.4%) | (55.6%) | (54.6%) | (45.4%) |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 격리해제 | 격리 중 | 위중증 환자** | 사망자 |
---|---|---|---|---|
1.10.(일) 0시 기준 | 50,409 | 17,1291) | 401 | 1,125 |
1.11(월) 0시 기준 | 52,552 | 15,422 | 395 | 1,140 |
변동 | (+)2143 | (-)1707 | (-)6 | (+)15 |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1) 지자체 오신고(중복)로 누계 정정(1.10. 0시 기준, 경기 -1)
1월 11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1월 11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41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655.4명), 수도권에서 297명(70.9%) 비수도권에서는 122명(29.1%)이 발생하였다.
(주간 : 1.5일~1.11일, 단위 : 명)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
(서울,인천,경기) | (대전,세종,충남,충북) | (광주,전남,전북) | (대구,경북) | (부산,울산,경남) | (강원) | (제주) | ||
1.11일(0시 기준) | 419 | 297 | 20 | 33 | 14 | 43 | 10 | 2 |
주간 일 평균 | 655.4 | 458.9 | 45.3 | 32.3 | 41.6 | 54.9 | 17.0 | 5.6 |
주간 총 확진자 수 | 4,588 | 3,212 | 317 | 226 | 291 | 384 | 119 | 39 |
(주간 : 1.5일~1.11일, 단위 : 명)
구분 | 1.5. | 1.6. | 1.7. | 1.8. | 1.9. | 1.10. | 1.1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수도권 | 455 | 566 | 622 | 452 | 421 | 399 | 297 | 458.9 | 3,212 |
서울 | 193 | 262 | 291 | 186 | 180 | 179 | 137 | 204.0 | 1,428 |
인천 | 48 | 35 | 37 | 30 | 46 | 32 | 18 | 35.1 | 246 |
경기 | 214 | 269 | 294 | 236 | 195 | 188 | 142 | 219.7 | 1,538 |
* (구분) 환자 6명(지표포함), 종사자 2명, 가족 3명
-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 관련) 1월 8일 이후 격리자 추적검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30명이다.
구분 | 계 | 환자/입소자 (지표환자 포함) | 종사자 | 가족/지인 | 기타 |
---|---|---|---|---|---|
1.8일 누계 | 225 | 117 | 84 | 20 | 4 |
금일 누계 | 230(+5) | 121(+4) | 85(+1) | 20 | 4 |
구분 | 계 | 종사자 | 수용자 | 가족 | 지인 |
---|---|---|---|---|---|
전일 누계 | 1,193 | 25 | 1,147 | 20 | 1 |
금일 누계 | 1,196(+3) | 27(+2) | 1,148(+1) | 20 | 1 |
* (구분) 종사자 3명(지표포함), 환자 6명, 가족 1명
- (경기 안산시 복지시설 관련) 1월 7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입소자 10명(지표포함), 종사자 3명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종교시설 관련) 1월 9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5명이다.
구분 | 계 | 교인 (지표환자 포함) | 가족 | 기타 | 조사중 |
---|---|---|---|---|---|
1.9일 누계 | 160 | 133 | 10 | 14 | 3 |
금일 누계 | 165(+5) | 136(+3) | 10 | 16(+2) | 3 |
(주간 : 1.5일~1.11일, 단위 : 명)
구분 | 1.5. | 1.6. | 1.7. | 1.8. | 1.9. | 1.10. | 1.1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충청권 | 57 | 53 | 45 | 39 | 61 | 42 | 20 | 45.3 | 317 |
대전 | 7 | 8 | 9 | 8 | 5 | 4 | 1 | 6.0 | 42 |
세종 | - | 1 | 3 | - | - | - | - | 0.6 | 4 |
충북 | 32 | 21 | 14 | 10 | 30 | 8 | 9 | 17.7 | 124 |
충남 | 18 | 23 | 19 | 21 | 26 | 30 | 10 | 21.0 | 147 |
구분 | 계 | 환자 구분 |
---|---|---|
① 괴산 병원 | 53(+1) | 환자41명(지표포함+1),종사자6명,방문자6명 |
② 음성 병원 | 177(+3) | 환자161명(+2),종사자16명(+1) |
③ 진천 병원 | 129(+4) | 환자126명(+3),종사자3명(+1) |
④ 안성 병원 | 34 | 환자33명,종사자1명 |
(주간 : 1.5일~1.11일, 단위 : 명)
구분 | 1.5. | 1.6. | 1.7. | 1.8. | 1.9. | 1.10. | 1.1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호남권 | 31 | 53 | 30 | 28 | 24 | 27 | 33 | 32.3 | 226 |
광주 | 23 | 30 | 28 | 21 | 6 | 18 | 24 | 21.4 | 150 |
전북 | 4 | 22 | 2 | 7 | 13 | 6 | 6 | 8.6 | 60 |
전남 | 4 | 1 | - | - | 5 | 3 | 3 | 2.3 | 16 |
구분 | 계 | 환자/입소자 |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 가족/지인 | 기타 |
---|---|---|---|---|---|
1.8일 누계 | 95 | 66 | 18 | 9 | 2 |
금일 누계 | 115(+20) | 78(+12) | 25(+7) | 10(+1) | 2 |
* (구분) 상인 8명(지표포함), 가족 3명, 기타 1명
경북권
(주간 : 1.5일~1.11일, 단위 : 명)
구분 | 1.5. | 1.6. | 1.7. | 1.8. | 1.9. | 1.10. | 1.1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경북권 | 55 | 48 | 44 | 45 | 32 | 53 | 14 | 41.6 | 291 |
대구 | 31 | 20 | 10 | 17 | 12 | 34 | 10 | 19.1 | 134 |
경북 | 24 | 28 | 34 | 28 | 20 | 19 | 4 | 22.4 | 157 |
* (구분) 종사자 7명(지표포함)
- (대구 달서구 의료기관 관련) 격리자 추적검사에서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9명*이다.
* (구분) 이용자 30명(지표포함), 종사자 3명, 가족 및 지인 16명(+4)
경남권
(주간 : 1.5일~1.11일, 단위 : 명)
구분 | 1.5. | 1.6. | 1.7. | 1.8. | 1.9. | 1.10. | 1.11.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
경남권 | 39 | 66 | 52 | 51 | 48 | 85 | 43 | 54.9 | 384 |
부산 | 14 | 38 | 23 | 22 | 17 | 32 | 16 | 23.1 | 162 |
울산 | 4 | 2 | 9 | 10 | 8 | 34 | 14 | 11.6 | 81 |
경남 | 21 | 26 | 20 | 19 | 23 | 19 | 13 | 20.1 | 141 |
구분 | 계 | 환자 구분 |
---|---|---|
① 교회1관련 | 25(+2) | 교인17명(지표포함),가족8명(+2) |
② 교회2관련 | 8(+3) | 교인7명(+2),기타1명(+1) |
③ 교회3관련 | 9(+3) | 교인6명(+2),가족3명(+1) |
구분 | 계 | 노인건강센터 | 추가전파 | ||
---|---|---|---|---|---|
입소자 |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 재가센터관련 | 가족 및 기타 | ||
1.8일 누계 | 85 | 40 | 18 | 3 | 24 |
금일 누계 | 91(+6) | 41(+1) | 19(+1) | 3 | 28(+4) |
【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 】
구 분 | ’20. 51주차 (12.13.~12.19.) | ’20. 52주차 (12.20.~12.26.) | ‘21. 1주차 (12.27.~’21.1.2.) | ‘21. 2주차 (’21.1.3.~1.9.) |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948.6 | 1,016.9 | 930.4 | 738.1 |
해외유입 | 27.3 | 31.3 | 24.7 | 35.1 | |
전체 | 975.9 | 1,048.3 | 955.1 | 773.3 | |
감염경로 조사 중 분율(%)(건) | 27.8(1,898/6,831) | 24.9(1,827/7,337) | 25.5(1,706/6,686) | 25.1(1,356/5,413)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1) | 33.6 | 33.2 | 35.2 | 40.2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72(▲12)) | 58(▲132)) | 46(▲252)) | 103) | |
감염재생산지수(Rt) | 1.28 | 1.11 | 1.00 | 0.88 |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223 | 288 | 330 | 388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81 | 134 | 149 | 158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38 | 164 | 191 | 205 |
2) 개별 사례 간 연관성이 확인되어 집단발생으로 재분류
3)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확진자 현황) 국내발생 확진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738.1명으로 직전 1주(’20.12.27일~’21.1.2일, 930.4명)보다 192.3명 감소하여 전주 대비 20.7% 감소하였다.
- 해외유입 확진자도 최근 1주간 1일 평균 35.1명으로 4주간 평균 30명 내외를 유지 중이다.
(권역별 발생 상황) 주간 일 평균 확진자가 전국 655.4명으로 수도권 458.9명, 경남권 54.9명, 충청권 45.3명, 경북권 41.6명, 호남권 32.3명, 강원권 17.0명, 제주권 5.6명 순이다(1.11(월) 기준).
【 권역별 1주간 방역 관리 상황(’21.1.5.~1.11.) 】
구 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 | 제주 | |
---|---|---|---|---|---|---|---|---|---|
거리두기2단계 기준(주간 일 평균) | - | 200명 이상 | 60명 이상 | 60명 이상 | 60명 이상 | 60명 이상 | 20명 이상 | 20명 이상 | |
전체 | 주간 일 평균(명) | 655.4 | 458.9 | 45.3 | 32.3 | 41.6 | 54.9 | 17.0 | 5.6 |
주간 총 확진자 수 | 4,588 | 3,212 | 317 | 226 | 291 | 384 | 119 | 39 | |
60세 이상 | 주간 일 평균(명) | 187.4 | 132.6 | 11.9 | 11.6 | 9.0 | 16.6 | 4.9 | 1.0 |
주간 총 확진자 수 | 1,312 | 928 | 83 | 81 | 63 | 116 | 34 | 7 | |
즉시 가용 중환자실 수 (’21.1.9. 09시 기준) | 205 | 100 | 20 | 19 | 20 | 40 | 3 | 3 |
- 추정 감염경로는 △시설 및 병원 94명(59.5%), △확진자 접촉 22명(13.9%), △지역 집단발생 9명(5.7%), △조사중 33명(20.9%)이며,
-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152명(96.2%)이며, 나머지 6명*은 조사 중이다.
* (80대 이상) 3명, (70대) 3명
(감염경로*) △선행 확진자 접촉 41.5%(2,244명), △집단발생 19.5%(1,055명), △병원 및 요양시설 9.5%(512명), △해외유입 4.5%(246명), △조사중 25.1%(1,356명) 순으로 나타났다.
* 최근 1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21.1.3. 0시∼1.9. 0시까지 신고된 5,413명 기준)
- 신규 집단발생 10건은 △의료기관·요양시설(4건, 40%), △종교시설(2건, 20%), △사업장*(3건, 30%), △교육시설(학원 1건, 10%) 등에서 발생하였다.
* 육류가공업체, 급식업체, 제조업 관련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추이는 완만한 감소세이나, 불안한 요인들은 여전히 있다고 밝히며, 위험 요인과 당부사항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다.
지역사회 감염위험 상존
- (위험 요인) 확진자 감염경로 중 ‘조사 중’이 26.2%(최근 1주) 등 접촉자 파악 미흡으로 지역사회 내 숨은 감염원이 존재함에 따라, 여전히 지역사회 전파위험은 있는 상황이다.
- (방역 대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144개소) 지속 운영(~1.17), 그간의 운영평가 등을 통해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당부 사항)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검사받고, △연말연시 특별방역기간의 방역수칙 및 행정명령 준수 등을 요청하였다.
감염취약시설 유행 지속
- (위험 요인) △환자 발생의 조기 인지가 어렵고, 돌봄 필요에 따른 격리의 한계로 집단감염의 위험이 높으며 △밀폐·밀집·밀접(3밀) 환경 등의 위험 요인이 있다.
- (방역 대책) △(요양병원) 선제검사 강화(1.4일∼, 주1회→주2회), 종사자 행정명령, 확진자 발생 시 긴급현장대응팀 파견, △(교정시설 등 집단시설) 집중관리대상 시설 선정, 시설별 방역지침 개정, 주기적 선제검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요양병원 방역수칙 준수 내용 >
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 發 변이 바이러스 유입에 따른 검역 및 모니터링 강화를 추진 중이다.
- 종사자 대상 주기적 선제검사 이행(신규종사자 채용전 진단검사 실시 후 주기적 검사)
- 종사자 실내 마스크 착용 및 퇴근후 사적 모임 금지
- 기관 방역관리자 지정을 통한 감염관리 및 방역강화
- (위험 요인) △변이 바이러스 출현 국가가 증가 추세, △입국자 자가격리 중 동거 가족에게 전파된 사례가 발생한 상황이다.
* 12월 총 16건(영국 15건/남아공 1건, 해외유입 11건, 국내가족감염 5건)
- (방역 대책) △입국자에 대한 검역 강화*, 해외유입 확진자 대상 유전자 분석, △영국·남아공 입국자 PCR음성확인서 제출 여부와 관계없이 임시생활시설에서 진단검사 및 음성 확인까지 격리(1.12일∼) 등 변이 바이러스 감시 및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 모든 입국자 PCR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화, 입국후 3일이내/격리해제전 검사 실시, 영국발 항공편 입국 중단(’20.12.23∼’21.1.21) 등
- (당부 사항) 입국자와 동거 가족은 자가격리 기간동안 생활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 자가격리대상자 생활수칙 >
격리장소 외에 외출 금지, 독립된 공간에서 혼자 생활, 외출이 불가피할 경우 관할보건소에 연락, 동거 가족과 대화 등 접촉 자제, 개인물품 사용 등
< 자가격리대상자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
최대한 자가격리대상자와 접촉 피하기(불가피할 경우 마스크 착용 및 2M 거리두기), 자주 환기 및 소독, 생활용품(문손잡이, 수건 등) 구분 사용, 많은 사람 접촉이나 집단시설 관련 종사자일 경우 격리해제일까지 업무 제한 권고
* 학교, 학원, 어린이집, 유치원, 사회복지시설, 산후조리원, 의료기관 등
계절 위험 요인
격리장소 외에 외출 금지, 독립된 공간에서 혼자 생활, 외출이 불가피할 경우 관할보건소에 연락, 동거 가족과 대화 등 접촉 자제, 개인물품 사용 등
< 자가격리대상자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
최대한 자가격리대상자와 접촉 피하기(불가피할 경우 마스크 착용 및 2M 거리두기), 자주 환기 및 소독, 생활용품(문손잡이, 수건 등) 구분 사용, 많은 사람 접촉이나 집단시설 관련 종사자일 경우 격리해제일까지 업무 제한 권고
* 학교, 학원, 어린이집, 유치원, 사회복지시설, 산후조리원, 의료기관 등
- (위험 요인) 지속되는 한파로 밀폐된 실내 생활 증가, 불충분한 환기 등이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사람 간 접촉 증가 시 대규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당부 사항) 냉난방기 등 사용 시 환기를 철저히 하는 등 방역수칙 준수를 요청하였다.
- (일반원칙) 가능한 자주 외부 공기로 환기*, 냉난방기·공기청정기 바람 방향은 사람에게 직접 향하지 않도록 천정 또는 벽을 향하게, 바람의 세기는 가능한 약하게 하기 * 동절기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나쁨 이상)에도 자연환기를 2시간 마다 1회 시행
- (다중이용시설) 시설 사용 전과 후에 출입문·창문을 모두 열고 송풍 등을 통해 최대 풍량으로 30분 이상, 2시간마다 1회(10분) 이상 창문을 열어 자연환기
- (가정) 냉난방기 등 사용 시, 최소 1일 3회(10분) 이상, 창문과 문을 개방하여 맞통풍
* ’20.10월~’21.1.6일 발생한 다중이용시설 감염 42천건 분석
(공통 위험행동) 지속적인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행동, 오랜시간 체류, 밀접 접촉하는 행동 등이었다.
-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행동(카페, 음식점, 목욕, 관악기 연주 등), △마스크 미착용 또는 불완전 착용(실내체육시설)이었다.
- △장시간 체류 및 취식동반(음식점, 라이브카페, 노래교실), △잦은 방문(실내체육시설, PC방), △소모임 등으로 밀접접촉, △탈의실·샤워실 같은 공용시설의 이용(사우나 등) 이었다.
(주의 및 당부사항)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경우,
-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도 항상 마스크 착용,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음주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피하고, △머무르는 시간은 최소화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장소 선택이 가능한 경우에는 △환기가 잘 되고, △테이블·좌석간 거리두기가 충분한 곳으로 할 것을 당부하였다.
지난 주(’21년 1주차(’20.12.20.~’21.1.2.)) 인플루엔자 발생 동향은 의사환자(ILI) 분율이 외래환자 1,000명당 2.4명(전년 동기간 49.1명)으로 유행기준(5.8명) 이하 수준이라고 설명하였다.
표본감시 의료기관(의원급 의료기관 52개소)의 호흡기 감염증 환자들의 병원체 감시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고(0/65)*,
- 국내 검사 전문 의료기관(5개소)의 호흡기 검체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도 0.1%(2/2,286) 수준이었다.
* 전년 동기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 : 43.4%(126/290)
WHO 인플루엔자 감시 결과, 전세계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률*은 0.15%로 비유행시기 수준이다 (’20년 52주차 (12.20.~12.26.) 기준)
* 동남아(2.9%), 아프리카(2.9%), 중동(1.0%), 서태평양(0.2%), 유럽(0.2%), 아메리카(0.1%)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해외 개발 코로나19 백신의 접종 준비 진행 상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밝혔다.
(추진단 구성·운영) 지난 1월 8일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국무총리 훈령)이 제정·시행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에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청장)이 본격 구성되었다.
- 추진단은 상황총괄반·예방접종관리반·자원관리반·접종후관리반 4개반(10개팀)과 백신도입지원관(백신법무지원)으로 구성되며, 관계 부처와 업무 연계를 강화하여 예방접종 준비를 실행해 나간다.
(범부처 및 민관협력 강화) 실무 조직 이외에도 촘촘한 예방접종 시행을 위해 예방접종 대응 협의회, 전문가 참여 위원회 및 의료계 협의체 운영을 통하여 범부처 및 민·관 협력을 통해 총력 대응 추진한다.
- 금주 중 ‘예방접종 대응 협의회’(관계부처 실장급)의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하여 추진단 운영 계획과 부처별 지원 역할* 및 세부 이행 과제 등에 대하여 논의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예방접종 준비·실행 과정에서 범부처 협업체계 강화를 위해 주기적인 점검과 논의를 지속할 것이다.
* 복지부(접종인력·의료계 협의), 행안부(지자체 접종 지원), 국방부(군인력 협조), 식약처(백신 허가·승인·유통), 산업부(도입 협상 등 지원), 외교부(국외 동향·협력), 문체부(홍보·소통), 국토부(항송수송), 법무부(이상반응 조사, 법적 검토 지원), 경찰청(이상반응 조사 지원), 특허청(법적 검토 지원), 조달청(물품 구매 지원) 등
- 또한, 기존 감염병관리위원회,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예방접종피해보상전문위원회와 코로나19 예방접종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접종 준비 및 시행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가 자문과 심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아울러, 의료계 협의체는 의사협회·병원협회·간호사협회 등 관련 협회와 협의를 통하여 구성하고, 실제 접종 현장의 의견 수렴과 원활한 소통 체계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예방접종 시행계획(안)) 예방접종 시행계획(안)은 지난 1월 8일에 예방접종전문위원회 및 감염병관리위원회에서 검토를 하였으며, 계획(안)을 보완하고 관계 부처 의견수렴 등을 거쳐 1월 중 확정할 예정이다.
(접종 대상) 우선접종 권장 대상에 대해 세부적인 대상자 파악과 의견수렴을 거쳐 백신 도입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 국민 무료접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지자체와 관계부처 협조를 통해 우선접종 권장 대상 규모를 파악 중에 있으며, 접종기관 선정 및 교육 등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 우선접종 권장 대상(안) 】
* 동 순서가 우선순위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음
▴의료기관 종사자, ▴집단시설 생활자 및 종사자, ▴노인(65세 이상), ▴성인 만성질환자, ▴소아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및 직원,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50∼64세 성인, ▴경찰·소방 공무원·군인, ▴교정시설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및 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연말연시 특별방역 강화대책(1.4.~1.17.) 및 수도권(2.5단계)·비수도권(2단계)의 거리두기 조치를 계속해서 잘 따라 줄 것을 요청하며, 중요한 세가지 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동 순서가 우선순위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음
▴의료기관 종사자, ▴집단시설 생활자 및 종사자, ▴노인(65세 이상), ▴성인 만성질환자, ▴소아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및 직원,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50∼64세 성인, ▴경찰·소방 공무원·군인, ▴교정시설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및 직원
첫째, 모든 사적인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한다.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 음주, 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피한다.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검사를 받는다.
- 아울러, 의료기관은 코로나19 의심 환자 또는 호흡기 증상 환자가 방문할 경우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하여, 선별진료소에서 별도의 문진 절차 없이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거듭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4. ∼ ’21.1.17.)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4. ∼ ’21.1.17.) 5. 인플루엔자 유행 현황 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copyrightⓒ korea.kr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