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질병청, 코로나19 피해 지원 위해 9천억 투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3차 확산에 대응해 맞춤형 피해지원을 위해 약 9천억 원을 투입한다고 11일 밝혔다.
지원 대상은 △검사·진단·치료 기반 확충 △방역·의료인력 보강 △격리·치료 관리 강화 △손실보상 △긴급복지다.
긴급복지를 위해 실직·휴·폐업 등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저소득 6만 가구에 약 920억 원의 긴급복지 예산도 지원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검사·진단·치료 기반 확충 △방역·의료인력 보강 △격리·치료 관리 강화 △손실보상 △긴급복지다.
우선 확진자 조기 발견을 위해 선별진료소를 대폭 확충하고 진단검사비를 지원하는 등 1253억 원을 지원한다.
선별진료소 운영 의료기관은 병원협회를 통해 지난해 미정산금 255억 원을 오는 2월12일 설 전까지, 올해 1분기 소요분은 4월 중 지출 후 사후정산 방식으로 지급 받을 수 있다.
신규 지정된 감염병 전담병원, 거점 전담병원이 중증질환자 치료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음압 설비를 긴급 확충하고 의료기관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출 후 사후정산 방식으로 241억 원을 보전할 계획이다.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에서 격무에 시달리는 간호사 등 4170명을 대상으로 간호수당 등 102억 원(1일 5만 원)을 한시 지원하고 이날부터 코로나19 야간간호료 수가 개편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해외입국자, 무증상·경증 확진자 등 대상자별 맞춤형 격리시설을 운영하고 격리자에 대한 생활보호도 적기 지원한다.
해외입국자 시설격리를 위해 임시생활시설 11개를 가동하고 경증․무증상 환자 치료를 위해 생활치료센터 72개를 운영하고 격리·입원자에게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비 652억 원도 설 전에 지급할 계획이다.
이밖에 방역조치에 따라 발생한 의료기관, 약국, 일반영업장 등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4천억 원의 개산급을 손실보상 심의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매월 말 지급한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BS노컷뉴스 정석호 기자] seokho7@cbs.co.kr
저작권자ⓒ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