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총액 300조 넘었다"..지역·유형 가리지 않고 '活活'

조성신 2021. 1. 11. 09: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역대 최초 200조원 돌파, 지방도 첫 100조원 이상 기록
"올해 비규제지역 이동 수요는 다소 제한적일 것"
재건축이 한창 진행 중인 반포동 아파트 모습 [사진 = 강영국 기자]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 총액이 2006년 이래 처음으로300조원을 돌파했다. 저금리 기조에 따른 풍부한 시중 유동자금이 주택시장으로 흘러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1일 직방이 국토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전국 주택매매거래 총액은 360.8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246조2000억원)에 비해 110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전 최고치인 2015년(262조8000억원)과도 90조원 이상 차이가 난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매매건수)이 282조2000억원(80만1348건)으로 이전 연간 주택 전체 유형의 매매거래 총액을 넘어섰다. 연립·다세대(17만5736건)와 단독·다가구(9만8027건)는 각각 35노4000억원, 43조2000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227조8000억원)이 역대 최초로 200조원을 돌파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176조1000억원, 연립·다세대 29조4000억원, 단독·다가구 22조2000억원이다. 특히 아파트와 연립·다세대는 이전 최고 거래총액을 경신했다.

지방 주택 매매거래 총액은 133조1000억원으로 처음으로 100조원 이상을 기록했다. 이전 매매거래 총액이 가장 많았던 2015년 94조7000원에 비해 38조4000원 많은 거래액이다. 아파트 106조2000억원, 연립·다세대 6조원, 단독·다가구 21조원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전국 주택 유형별 연간 매매거래 총액 [자료 = 국토부]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 총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110조69억원에 달했다. 단일 시도 지역으로는 2006년 발표 이후 처음으로 100조원 이상을 기록했다. 서울은 92조46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12조24억원 늘었다.

지방은 부산이 전년(13조93억원)에 비해 14조20억원 증가한 28조13억원을 기록했다. 이어 대구 18조64억원, 경남 12조76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가장 높은 매매가격 상승률을 기록한 세종(한국부동산원 종합주택유형 기준 37.1%)은 전년에 비해 1조54억원 늘은 3조80억원을 보였다. 같은 기간 14.0% 상승한(한국부동산원 종합주택유형 기준) 대전은 84억원 증가하는데 그치며 9조27억원의 주택매매거래가 이뤄졌다.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 시장은 연초 정부의 수요억제 정책과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사태로 활황기의 모습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금융당국이 기준금리 인하 등 경기 부양책을 단행하면서 시장 호황기를 맞았다. 정부의 규제에서 벗어나 있던 지역을 중심으로 풍선효과가 발생하면서 집값 상승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확대됐다.

뜨겁게 달아오른 주택시장은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부양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중 통화량이 주택 매매시장을 자극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정책적으로 수요규제 등 가격 안정을 위한 다양한 조치와 함께 주택임대차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공급확대책이 꾸준히 병행될 예정"이라며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의 확대와 함께 보유세 등 주택관련 과세 강화정책의 강도가 상당한 만큼 비규제지역으로 이동하는 수요는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robgu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