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은행, 두달내 영업점 26곳 더 줄인다..점포 특화경쟁도 치열

김연정 2021. 1. 11.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점포 216개 없애..예년의 5배 넘는 수준

(서울=연합뉴스) 은행팀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디지털 전환에 한층 더 속도를 내고 있는 은행권이 점포 수를 빠르게 줄여나가고 있다.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이 216개의 점포를 없앤 데 이어 올해에도 디지털·비대면화 강화 흐름 속에 점포 구조조정이 계속될 전망이다.

5대 시중은행 로고 [연합뉴스 자료사진]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은 1∼2월 중에 영업점 26곳을 축소할 예정이다.

국민은행은 오는 25일 영업점 20곳을 통폐합하고, 신한은행도 다음달 1일 서울 용산 원효로지점, 서울 종로 함춘회관 출장소, 부산 해운대구 신한PWM해운대센터 등 3개 점포를 폐쇄한다.

하나은행도 1∼2월에 서울 용산구 이촌동과 강남구 역삼동 소재 영업점을 통폐합해 점포 2개를 줄인다.

우리은행은 1∼2월 중 경기 분당 정자지점 1곳을 폐쇄한다. 이어 3∼6월에 17곳, 7∼12월에 17곳의 영업점을 각각 폐쇄할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은 올해 점포 계획을 전년 실적을 반영해 3월부터 수립할 예정이다.

외국계 은행인 한국씨티은행도 2017년 대대적인 영업점 통폐합 이후 4년 만에 점포 수를 더 줄인다. 이달 16일 경기 안산지점, 서울 대치 출장소, 동부이촌동 출장소, 동춘동 출장소 등 4곳을 통폐합해 총 영업점 수가 기존 43개에서 39개로 줄어든다.

5대 시중은행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바람이 거세게 불었던 지난해 점포 수를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축소했다.

5대 은행의 전국 점포 수는 2019년 말 4천640개에서 작년 말 4천424개로 216개나 줄었다. 2018년 38개, 2019년 41개가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5배가 넘는 수준이다.

작년 말 기준으로 농협은행의 점포 수가 1천121개로 가장 많고, 국민은행 972개, 신한은행 859개, 우리은행 821개, 하나은행 651개 순이다.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도 2019년 말 216개였던 점포 수를 작년 말 200개로 줄였다.

은행점포·ATM 사라진다…모바일뱅킹 영향(CG) [연합뉴스TV 제공]

금융의 디지털·비대면화로 고객이 영업점을 직접 찾을 필요가 줄어들면서 은행 점포 축소는 수년 전부터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이미 자리 잡았다. 모바일과 인터넷 뱅킹이 점차 발달하면서 은행 입장에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점포를 유지할 이유가 줄어들고 있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점포 운영 효율화'를 추진하면서 오프라인 점포 특화 경쟁에 골몰하는 분위기다. 각 지역 환경에 맞게 점포 형태를 다양화하거나 특색 있는 점포를 선보이는 '실험'을 하기도 한다.

신한은행은 작년 11월말 고객이 화상 상담 창구에서 전담 직원과 원격으로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혁신 점포 '디지택트(디지털+콘택트) 브랜치'를 서울 서소문 지점 안에 마련했다.

'디지택트 브랜치'는 2평 정도의 공간만 있으면 어디든 차릴 수 있고, 신한은행 디지털영업부 소속 전담 직원이 오프라인 영업점을 대신해 전국 디지택트 브랜치를 통해 고객과 금융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대면·비대면 융합 점포'다.

화상상담으로 은행 일 본다…신한은행, 미래형 점포 선보여 신한은행이 작년 11월말 화상상담 시스템을 적용한 미래형 혁신 점포 '디지택트 브랜치'를 서울 서소문 지점 안에 열었다. '디지택트'는 디지털(Digital)과 콘택트(Contact)의 합성어로, 디지택트 브랜치는 고객이 화상상담 창구에서 전담 직원과 원격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대면·비대면 융합 점포다. [신한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C제일은행은 올해 증권 비즈니스와 결합한 복합 점포를 개설하려고 준비 중이다.

자회사인 SC증권과 연계해 은행 지점에서 고객들에게 은행과 증권 상품을 원스톱으로 판매하며 폭넓은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으로, 하반기 출범이 목표다.

앞서 KB금융그룹이 한 곳에서 은행, 증권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WM(자산관리) 복합 점포'를 도입해 이를 빠르게 확대해가고 있다.

올해 영업점 35곳을 축소할 예정인 우리은행은 이달부터 거점 점포 한 곳과 인근 영업점 4~8개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영업점 간 협업체계 '밸류 그룹(VG)'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같은 VG에 속한 영업점들이 공동 영업을 하며 업무 노하우를 공유하고 불필요한 내부 경쟁을 지양하는 동시에, VG그룹 내 영업점별로 '특화 영업'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yjkim84@yna.co.kr

☞ 슈워제네거, 앙숙 트럼프에 "You are terminated"
☞ "교황 주치의,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
☞ '샤넬의 뮤즈' 슈퍼모델 스텔라 테넌트 사인은…
☞ 흰머리에 민낯·파자마…인간미 띄우는 서울시장 주자들
☞ 제설제 바닥났는데도 '눈 치우는 시늉' 지시에…
☞ 극단 선택한 의경 시신, 순직 결정에도 11년째 병원 방치
☞ 분양 후 수억원 뛰었는데 이제 와서 나가라고?
☞ '링컨 액자' 선물받은 안철수 "썩은 나무를…"
☞ "짐승보다 못해" 장모 윽박지른 사위…노인학대 무죄
☞ "공무원이 괜찮다고…"…구청장 단체식사 식당에 불똥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