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尹과 부동산 실책에 급증한 무당층.. 2016년 국민의당 같은 돌풍 재현되나

기민도 입력 2021. 1. 10. 20:51 수정 2021. 1. 11. 0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무당층이 늘어난 이유로 정부·여당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감 등을 꼽았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 부동산 문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등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빠지면서 상대적으로 무당층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상당수 무당층이 정부·여당에 등을 돌렸다는 얘기다.

창당을 눈앞에 두고 정당 지지율 조사에 처음 들어온 국민의당이 12% 지지를 받으며 무당층을 흡수한 결과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대 선거 뒤흔든 무당층, 올핸 어디로
작년 12월엔 32%.. 6개월 새 7%P 늘어
대통령 국정지지도 긍정 20%, 부정 64%
당지지율 민주 8%P↓,국민의힘 3%P↑

[서울신문]

추미애 법무부 장관, 윤석열 검찰총장 - 서울신문DB·뉴스1

전문가들은 최근 무당층이 늘어난 이유로 정부·여당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감 등을 꼽았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 부동산 문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등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빠지면서 상대적으로 무당층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무당층이 큰 만큼 4월 재보궐선거의 판세도 아직까지는 유동성이 크다.

10일 한국갤럽 ‘월간·연간 통합 집계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무당층 비율은 32%로, 지난해 6월 25%보다 7%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민주당 지지도는 42%에서 34%로 줄고, 국민의힘 지지도는 18%에서 21%로 늘었다. 양당 지지율 변동의 격차만큼이 군소정당이나 무당층으로 옮겨 간 것이다.

이에 대해 허진재 한국갤럽 이사는 “특정 정당의 정치적 실패 등이 있으면 그 정당 지지도는 떨어지지만, 그렇다고 갑자기 다른 정당을 지지하지는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무당층이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무당층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 긍정평가는 20%였던 반면 부정평가 비율은 64%를 기록했다. 상당수 무당층이 정부·여당에 등을 돌렸다는 얘기다.

무당층이 늘어나면 기성 정당의 부담감도 커진다. 특히 선거를 앞두고 무당층의 마음을 잡지 못하면 기존 구도를 흔드는 대안 세력이 등장할 수도 있다. 2016년 총선에서 ‘녹색 돌풍’을 일으킨 안철수 대표의 국민의당이 대표적이다. 2016년 1월 1·2주에 32%였던 무당층은 3·4주에 26%로 줄었다. 창당을 눈앞에 두고 정당 지지율 조사에 처음 들어온 국민의당이 12% 지지를 받으며 무당층을 흡수한 결과였다. 총선 결과 국민의당은 비례대표 투표에서 민주당(25.5%)보다 많은 26.7%를 얻었다.

21대 총선을 앞둔 지난해 2월에도 무당층은 30%에 달했고, 이들의 대통령 국정지지도는 긍정 27%, 부정 57%였다. 현재와 비슷한 상황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총선이 실시된 4월 무당층은 19%로 줄었고, 이들의 대통령 국정지지도는 긍정 40%, 부정 38%로 역전됐다. 정부·여당이 코로나19 방역을 잘하고 있다는 여론이 만들어지면서 무당층이 ‘야당 심판’으로 돌아선 것이다.

무당층 민심이 재보궐선거에서 어디로 갈지는 아직 예측하기 힘들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대학원 교수는 “대통령과 민주당을 지지한 사람들이 선뜻 국민의힘으로 옮겨 가지는 못하는 상황”이라며 “국민의힘이 이들을 끌어갈 수 있다면 향후 선거가 엎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