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 열풍' 인터넷銀 신용대출 작년에만 5조 늘었다

최경식 2021. 1. 10. 17: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뱅크·케이뱅크)을 통한 신용대출이 지난 3년간 244%나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인터넷은행을 통한 신용대출 증가액은 약 5조원에 육박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17년말~2020년말) 카뱅과 케뱅 등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5조4710억원에서 18조8160억원으로 244% 급증했다.

다만, 올해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증가세가 계속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뱅·케뱅 등 신용대출 3년간 244%↑
지난해 증가액 약 5조 육박  
젊은층 중심 '빚투' 열풍 영향 
비대면 간편대출, 저금리 선호 
올해 당국 규제로 증가세 둔화 전망
[파이낸셜뉴스]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뱅크·케이뱅크)을 통한 신용대출이 지난 3년간 244%나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인터넷은행을 통한 신용대출 증가액은 약 5조원에 육박했다. 이 같은 신용대출은 20~30대 젊은층의 주도 하에 주식투자에 집중적으로 활용된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17년말~2020년말) 카뱅과 케뱅 등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5조4710억원에서 18조8160억원으로 244%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 1년동안 신용대출 잔액은 4조9340억원(카뱅 3조3640억원, 케뱅 1조57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11월의 경우 인터넷은행의 대출 증가율은 5대 시중은행보다 2%포인트 가까이 높기도 했다.

이처럼 시중은행 못지않게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도 두드러진 증가세를 나타낸 것은 '빚투'(빚내서 주식투자) 열풍과 관련돼 있다. 주식 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호황을 나타내면서 20~3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비대면 대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통상적으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대출하는 경우는 가계 대출이 일반적이고, 일반 신용대출이나 예금담보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인터넷은행을 통하면 복잡한 서류절차 등 없이 이 같은 대출을 받기가 비교적 수월하고 금리도 저렴한 만큼, 빚을 내 주식 투자에 편승하려는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몰렸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난해 3월, 8월, 11월 등엔 SK바이오팜과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카카오게임즈 등 공모주 청약이 큰 인기를 끌면서 이 같은 추세를 견인했다는 전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공모주 청약의 경우 증거금을 마련해 청약을 하고, 이후 며칠만 쓰고 다시 갚으면 된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은행 창구까지 방문하지 않고 비대면으로 손쉽게 대출 신청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카뱅의 경우 지난해 3월, 8월, 11월 신용대출 잔액이 다른 월(증가액 397억원~3689억원)에 비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지난해 3월 신용대출 잔액은 13조8671억원으로 전월(12조9465억원) 대비 9206억원, 지난해 8월 신용대출 잔액은 14조7392억원으로 전월(14조2749억원) 대비 4643억원, 지난해 11월 신용대출 잔액은 15조7502억원으로 전월(15조1949억원) 대비 5553억원 각각 늘었다.

다만, 올해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증가세가 계속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인터넷은행도 금융당국의 규제에 따라 대출 증가세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신용대출 상품의 금리도 올리고 있다. 얼마전 케이뱅크는 신용대출과 마이너스 통장의 금리를 각각 0.2%포인트 인상했고, 카카오뱅크도 직장인 신용대출을 0.1%포인트 올렸다. 금융권 관계자는 "과열로 인해 연체율 등 건전성 리스크도 커질 수 있는 만큼, 향후 대출 관리 기조가 이어져 증가세가 크게 꺾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kschoi@fnnews.com 최경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