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 '#아이엠히어', 프랑스인 눈에 비친 한국
서울 곳곳 배경으로 한국인 모습 그대로 그려
주인공은 아내와는 결별했고 자식과도 서먹서먹한 프랑스 남자 '스테판'(알랭 샤바). 그의 요즘 유일한 낙은 인스타그램 친구 'SOO'(배두나)와의 소통이다. 자신의 말을 들어주고 자신을 이해해주는 것 같은 그녀에게 빠져 현실에도 지장이 생길 만큼 스테판은 정신을 못 차린다. 그림에 대해서, 또 한국의 벚꽃에 대해서 SOO와 얘기를 나누던 그는 "(벚꽃을) 같이 보면 정말 좋을텐데"라는 SOO의 한 마디에 한국행을 결심한다. 비행기 안에서 "저녁 8시, 공항에서 만나요"라는 메시지를 남기고는 곧장 한국으로 향한다.
이런 과도한 접근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건 당연지사.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그를 반겨주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스테판은 실망하지 않고 그곳에서 계속 SOO를 기다린다. 공항 벤치에서 노숙도 하고, 한국의 소주 문화도 체험하고, 여행자들과도 어울리는 동안 그는 어느새 '프렌치 러버'라는 별명을 얻으며 '셀럽'이 된다. 일상을 계속 인스타그램에 올리며 SOO에게 신호를 보내지만 응답은 없다. 팔로워 수는 무서운 속도로 늘어나지만 정작 현실에서 그를 다소나마 도와주는 이는 소셜미디어를 전혀 하지 않는 공항 미화원뿐이다.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리기 위해 스테판과 같이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많지만 끝나고 나면 언제 그랬다는 듯이 제 갈 길을 가는 모습이 '과연 한국인이다' 싶으면서도 뒷맛이 쓰다.
공항에서의 노숙이 일주일을 넘자 스테판은 견디다 못해 SOO를 직접 찾아 나선다. 마침내 실제로 마주친 SOO는 '눈치'를 설명하며 "말하지 않아도 알아야 한다"고 충고를 하는 영락없는 한국인이다. 이성적 교류를 기대하는 스테판의 환상을 깨뜨리는 방식도 대단히 한국적으로, 한국 드라마에서 흔히 나올 법하다.
영화는 광화문·숭례문·남산타워·광장시장 등 서울 곳곳의 모습도 비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눈길을 끌며 이 작품을 한국적으로 만드는 건 '한국 사람들'이다. '#아이엠히어'는 더하지도 빼지도 않고 있는 그대로의 한국인들 모습을 그려낸다. '외국인이 바라 본 한국 모습'이라는 문구에 꽂힌 관객들이 영화를 보러 오며 이 작품의 '한국성'은 완성된다. 누구보다도 다른 사람들 '눈치'를 많이 보고, 특히 외국인이 한국을 호평하면 '국뽕'에 빠지는 게 한국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런 한국인 특성이 마냥 부정적인 것만도 아니다. 전 세계에 한류를 전파하고 있는 BTS와 블랙핑크가 나올 수 있었던 데 기여한 부분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이방인 시선에서 한국인의 양면성을 이렇게 고해상도로 묘사한 점이 탁월하다.
[서정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대면 공연으로 `3D 음향시대` 활짝 열렸죠
- 언론재단, 뉴스토어 서비스…뉴스데이터 검색·구매 가능
- [영화 리뷰] 어른을 위한 동화 `소울`, 거창한 꿈 없어도…인생은 의미 있다
- [영화 리뷰] `#아이엠히어`, 프랑스인 눈에 비친 한국
- 스타 피아니스트 김선욱…지휘자로 데뷔한다
- 유세윤→장도연 측 “전 소속사, 출연료 10억원 미정산”
- 카드업계가 떨고 있다…누가 애플페이 ‘찻잔 속 태풍’이라 했나 [BUSINESS]
- ‘엔믹스 탈퇴’ 지니, 사랑스럽고 밝은 표정 [똑똑SNS]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 김규리 “그림도 저도, 아직은 잘 모르겠어요”